교수소개 - 인문과학대학
교수소개
- 대학안내
- 교수소개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인 이승수는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저역서로 ‘三淵 金昌翕 硏究’, ‘역주 정유각집’, ‘문학이 태어나는 자리’ 등이 있다. 한국고전문학연구, 고소설연구, 한국한문학연구 등의 학술지에 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 학력
1990년 한양대학교 문학사
1992년 한양대학교 문학석사
1998년 한양대학교 문학박사
■ 경력
2005~2007년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연구조교수
2008~2010년 경희대학교 혜정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2010년~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교수
■ 연구관심분야
고전서사학, 문학의 역사성, 인문지리학, 동아시아의 문명교류, 도적소설, 연행록과 연행로, 설화의 역사성과 문학성
■ 주요논문
淵蓋蘇文 서사의 형성과 전승 경로, 동아시아문화연구 47집, 2010
黑旋風 李逵의 인물 형상과 서사 기능, 고소설연구 29, 2010
燕行路의 文明路的 위상 검토, 그 의의와 한계, 한국언어문화연구 41, 2010
고려말 對明 使行의 遼東半島 경로 고찰, 한문학보 20, 2009
朴文秀 전승의 역사적 기반 탐색, 한국문화 42, 2008
■ 주요저서
조선의 지식인들과 함께 문명의 연행길을 가다(공저), 푸른역사, 2005
거문고 줄 꽂아놓고, 돌베개, 2006
문학이 태어나는 자리, 산처럼, 2009
고구려의 등장과 그 주변(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9
동행의 역사와 형상(공저),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 2009
역주 정유각집(공역), 돌베개, 2010
■ 학회활동
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고전문학회, 한국고소설학회, 한국한문학회
■ 자기소개
한양대 국문과 졸업, 동 대학원 석박사 수료. 한국한문학전공. 『조선후기 고문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저서에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초월의 상상』, 『목릉문단과 석주 권필』, 『고전문장론과 연암 박지원』, 『한시미학산책』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정유각집』3책(공역), 『석주집』, 『기봉집』,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생각창고』(공역) 등이 있다. 한문학의 대중화에도 힘을 쏟아 『한시 속의 새, 그림 속의 새』(2책), 『다산선생지식경영법』, 『미쳐야 미친다』, 『죽비소리』외에 여러 책을 펴냈다. 학회 활동으로는 한국18세기학회 회장(2007-2009), 한국언어문화학회 부회장, 한국도교문화학회 부회장, 한국한문학회 연구이사 등을 역임하거나 맡고 있다. 한국문학의 역사, 고전명문감상 등의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 학력
한양대 국문과 졸업, 동 대학원 석박사 수료. 한국한문학전공.
■ 연구관심분야
고전문학, 고한국한문학, 실학사
■ 주요논문
石洲 權필의 詩世界 硏究, 朝鮮 後期 古文論 硏究, 고전문장이론에서 `法`의 문제에 대하여 외 다수
■ 주요저서
연구 저서에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초월의 상상』, 『목릉문단과 석주 권필』, 『고전문장론과 연암 박지원』, 『한시미학산책』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정유각집』3책(공역), 『석주집』, 『기봉집』,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생각창고』(공역) 등이 있다. 한문학의 대중화에도 힘을 쏟아 『한시 속의 새, 그림 속의 새』(2책), 『다산선생지식경영법』, 『미쳐야 미친다』, 『죽비소리』외에 여러 책을 펴냈다.
■ 학회활동
학회 활동으로는 한국18세기학회 회장(2007-2009), 한국언어문화학회 부회장, 한국도교문화학회 부회장, 한국한문학회 연구이사 등을 역임하거나 맡고 있다.
■ 자기소개
유성호 교수는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을 졸업하여, 동대학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근대문학을 전공하였고,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서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를 거쳐 지금은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 학력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 경력
서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 연구관심분야
한국 근대문학
■ 주요논문
김현승 시의 분석적 연구 등.
■ 주요저서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 상징의 숲을 가로질러, 침묵의 파문, 현대시교육론 등.
■ 수상경력
김달진문학상, 유심작품상, 편운문학상 등.
■ 학회활동
한국근대문학회, 한국시학회, 민족문학사학회, 한국언어문화학회
■ 자기소개
조성문 교수는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에 재직 중이다.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국어학으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국어 자음의 음운 현상에 대한 원리와 제약&, &재미있는 성문국어&, &기능과 화행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 활동& 등이 있으며, 국내 주요 학술지에 국어음운론 관련 논문 50여 편을 발표한 바 있다.
한국음성과학회에서 우수발표논문상을 수상했으며, 한국언어학회, 대한언어학회, 한국현대언어학회, 한국언어문화학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한민족문화학회, 한국음성학회 등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한국음운론학회 총무이사, 한국사회언어학회 섭외이사, 한국어학회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학력
1991,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1996, 한양대학교, 국어음운론 석사
2000, 한양대학교, 국어음운론 박사
■ 경력
2000-2003,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
2003-2007,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2007-현재,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2008-현재,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연구관심분야
한국어 음운론, 한국어 음성학, 최적성이론, 한국어교육
■ 주요논문
“최적성이론에 의한 모음조화의 변화 분석”, 음성․음운․형태론연구, 7(1), 2001.
“산포이론에 의한 국어 모음체계의 변이 고찰”, 언어학, 13(4), 2005.
“정지용 시의 음운론적 특성 분석”, 동북아문화연구, 22, 2010.
■ 주요저서
&국어 자음의 음운현상에 대한 원리와 제약&, 2000.
&재미있는 성문국어&, 2006.
&기능과 화행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 활동&, 2009.
■ 수상경력
한국음성과학회, 우수발표논문상, 2003
■ 학회활동
한국음운론학회: 총무이사, 2008-2010
한국사회언어학회: 섭외이사, 2009-2011
한국어학회: 편집위원, 2009-2011
■ 기타
서울특별시 공무원시험 출제위원, 2001-2009.
행정안전부 PSAT 출제위원, 2002-2003
국회 공무원시험 출제위원, 2005-2009
■ 소개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2003),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현대소설 전공으로 석사(2008) 및 박사학위(2013)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대우교수(2013-16),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조교수 및 부교수(2016-2025)로 근무하였다. 2025년부터 한양대학교에서 한국근현대소설과 디지털 인문학을 담당하고 있다. 경성의 도시공간과 문화, 모더니즘 문학, 디지털 문학지도 구축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 학력
2013,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2008,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2003,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 경력
2025-현재, 한양대학교 부교수
2016-2025,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조교수 및 부교수
2013-2016,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우교수
2012~2015, 홍익대학교 기초교육대학 시간강사
2009~2012, 한림대학교 기초교육대학 시간강사
■ 연구관심분야
한국근현대소설, 도시공간과 문화, 모더니즘 문학, 디지털 인문학
■ 주요 저술
『식민지 교양소설 제국-식민지의 불균등 발전과 성장하지 않는 청춘』(서강대학교출판부, 2023)
『경성 모더니즘: 식민지 도시 경성과 박태원 문학』(일조각, 2020)
『쉽게 읽는 서울사: 일제강점기편』(공저, 서울역사편찬원, 2020)
『근대문화유산과 서울 사람들』(공저, 서울역사편찬원, 2017)『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 일본』(공저, 소명출판, 2017)
■ 주요 논문
&이중언어 문학장과 혼종적 에크리튀르&, 사이間SAI, 2024
&사상 통제의 매커니즘과 전향작가의 망탈리테&, 우리말글, 2023
&수량적 문체론과 기법의 문학사&, 한국근대문학연구, 2023
&제국 아카데미와 식민지 지식인의 초상&, 동악어문학, 2023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형성과 서양 고전음악의 의미&, 한국문학논총, 2022
&‘멀리서 읽기’를 통한 한국 근대소설의 지도 그리기&, 돈암어문학, 2022
&재조선 일본인 작가와 한국 작가의 경성의 ‘남촌’ 재현에 관한 비교문학적 연구&, 비교문학, 2022
&기술 총화의 ‘비행기’ 시대와 제국-식민지의 낙차&, 어문연구, 2022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 연작과 비총체화된 총체성&, 한국현대문학연구, 2022
&파시즘에 드리운 모더니즘적 상상력&, 상허학보, 2022
&한국 근대 미인의 형성과 화문(畵文)의 모더니즘&, 구보학보, 2021
&재조선 일본인 문학의 ‘경성’ 재현 양상과 심상지리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 2021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동경(東京)의 공간적 특성과 재현 양상 연구(2)&, 구보학보, 2019
&한국 모더니즘 문학과 채만식 소설&, 어문연구, 2019
&식민지 도시 경성과 김유정의 언어감각&, 인문과학연구, 2018
&일본인 작가가 재현한 식민지 조선의 감옥&, 서강인문논총, 2018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세계문학적 의의&, 구보학보, 2018
&이야기는 어떻게 인간을 사로잡는가&, 한국예술연구, 2017
&『천변풍경』의 세 개의 판본과 박태원의 창작과정에 대한 고찰&, 구보학보, 2017
&불균등 발전과 반(反)성장 소설&, 우리말글, 2017
&이광수의 지리적 상상력과 세계인식&, 현대소설연구, 2017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동경(東京)의 공간적 특성과 재현 양상 연구&, 우리어문연구, 2017
&징후로서의 전향과 형식의 이데올로기&, 어문연구, 2016
&일제말 박태원의 시대인식과 악순환의 서사&, 구보학보, 2016
&은폐된 제휴관계와 식민지 지식인의 원죄의식&, 현대소설연구, 2016
&제국의 외부에서 사유하기&, 현대문학의 연구, 2016
&대경성의 공간재편과 박태원의 미완의 기획&,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식민지 교양소설과 이태준의 공간지향&, 상허학보, 2015
&피난민 산책자와 1970년대 서울&, 시학과언어학, 2015
&제국-식민지의 역학과 박태원의 ‘동경(東京)텍스트’&, 서강인문논총, 2014
&물화된 전쟁과 제국의 시선&, 현대소설연구, 2014
&천변의 대안적 공동체와 순환적 인물체계&, 어문연구, 2014
&고현학과 산책자&, 구보학보, 2013
&식민도시 경성과 트로이의 목마&, 구보학보, 2012
&식민지적 어둠의 심연&, 한국근대문학연구, 2010
&구성적 부재와 공간의 정치학&, 어문연구, 2010
&경성 모더니즘과 공간적 역사&, 구보학보, 2009
&경성 모더니즘과 역사적 알레고리&, 현대소설연구, 2008
■ 주요 사업
&경성 디지털 문학지도 구축과 공간의 문학사 연구&(한국연구재단, 2023-2026)
&경성 모더니즘의 형성과 전개: 대경성과 혼종적 에크리튀르&(한국학중앙연구원, 2021-2023)
&한국 근대소설 속 일본어 발화의 서사적 기능과 혼종적 에크리튀르 연구&(한국연구재단, 2020-2023)
&한국 근대 ‘미인’의 형성-신문연재소설 속 미인의 재현양상과 삽화 비교 연구&(아모레퍼시픽재단, 2019-2020)
&재조선 일본인 작가와 한국 작가의 경성 텍스트에 관한 비교문학적 연구&(한국연구재단, 2018-2020)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동경(東京)의 공간적 특성과 재현 양상 연구&(한국연구재단, 2016-2018)
&이태준 장편소설의 공간지평과 근대의식 연구&(2014-2015)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인 서경석 교수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근대문학사 연구’, ‘한국 근대 리얼리즘문학사 연구’ 등이 있으며 국내학술지에 70여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한국문학 편집위원, 대산문화 편집위원 등을 지냈으며 한국문학연구학회, 우리말글학회에서 연구이사, 편집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학력
1983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사
1987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1992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 경력
1992년 -2001년 대구대학교 교수
2001년 9월- 현재 한양대학교 교수
■ 연구관심분야
한국근현대비평 및 한국근현대 소설, 한일 근대문학 비교 연구
■ 주요논문
한설야 문학의 유교적 배경 연구, 우리말글, 2006.4
만주국 기행문학 연구, 어문학, 2004.12
카프에 대한 카프주변부의 비판과 그 가능성, 어문론총, 2004.12
■ 주요저서
동화의 씨앗(공저), 역락, 2005
한국문학 100년(공저), 현암사, 2001
한국근대리얼리즘문학사, 태학사, 1998
■ 수상경력
1988년 한국문학 비평부문, 신인상
■ 학회활동
우리말글학회 편집이사
한국문학연구회 연구이사
한국언어문화학회 회원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이도흠 교수는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도흠 교수는 이론가이자 고전시가 연구자다. 이론가로서는 한국의 고유 철학인 화쟁철학을 바탕으로 맑시즘과 형식주의를 종합하여 텍스트의 내적 구조를 분석하면서도 이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수용하며 해석하는 화쟁기호학이라는 이론을 만들었다. 이 이론으로 향가, 고려속요, 시조 등 한국 전통 시가를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하이쿠와 같은 외국문학, 대중문화도 분석하였다.
상대방의 눈동자에 맺힌 내 모습을 눈부처(Buddha in other’s pupil)라 한다. 그는 원효의 화쟁철학과 맑시즘, 들뢰즈(Deleuze)와 레비나스(Levinas)를 종합하여 타자 속의 나, 내 속의 타자가 서로 소통하여 하나가 되는 타자성(alterity)의 상생(mutual liviving)을 추구하면서도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주체가 되는 눈부처-주체성의 철학을 펼치며, 약자의 편에서 이의 실천운동도 행하고 있다. 2020년에 고전문학회 50주년을 맞아 고전시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선정되어 고전시가 연구 100여 년을 회고/평가하는 좌담회에 참석하였고, 세계적 석학을 양성하는 사업인 ‘한국연구재단 우수학자’에 선정되었다.
■ 학력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학사, 석사, 박사
■ 경력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 상임의장, 지식순환협동조합(지순협) 대안대학 이사장, 정의평화불교연대 상임대표,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소장
■ 연구관심분야
고전시가, 문학과 예술이론, 불교철학, 미학, 대중문화와 한류문화
■ 주요저서
<화쟁기호학-이론과 실제>, <신라인의 마음으로 삼국유사를 읽는다>, <인류의 위기에 대한 원효와 마르크스의 대화>, <4차 산업혁명과 대안의 사회1/2>, <신화/탈신화와 우리>, <한류와 한사상>(공저)
■ 수상경력
삼성전자/<중앙일보> 주최 <21세기 중앙 논문상> 최우수상, <교수신문> 주최 ‘교수학술에세이’ 최우수상, 원효학술상, 유심학술상 수상
■ 학회활동
현재 한국시가학회 회장, 한국기호학회 회장, 한국언어문화학회 회장 역임
■ 자기소개
한양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교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중화민국 국립 정치대학 중문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연세대학교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경동대 전임강사, UC버클리 중국학센터 방문학자, 한양대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중어중문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중국 고전산문 연구에서 출발하여, 주로 근대 전환기 고전문학으로부터 현대문학으로의 변화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중국문학 연구 외에도 이 시기 한국과 중국 문사철 전반의 관련성에 주목하고 여러 논저 및 역서를 발표했다.
■ 학력
1985, 한양대학교, 문학사
1988, 중화민국 국립정치대학, 문학석사
1996,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 경력
1998-2000, 경동대학교 전임강사
2006-2007, 미국 버클리 대학 중국학센터 방문학자
2000-현재, 한양대학교 중문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 연구관심분야
중국 근현대문학, 한중 비교문학
■ 논문
안중근 관련 중국 시가 중의 인물 형상 연구, 2023.10, 동양학
安重根 義士를 題材로 한 중국 詩歌 연구Ⅰ- 시가 개관과 안중근 애도, 찬양 내용을 중심으로, 2022.11, 중국문화연구
니토베 이나조·량치차오·신채호의 무사도·화랑도 수립 비교 연구, 2020.01, 동양학
량치차오의 傳記文 李鴻章 연구, 2019.11, 중국문화연구
량치차오의 中國之武士道 저술을 통한 이상적 국민성의 기획, 2019.04, 중국어문학논집
試論梁啓超關於朝鮮的兩首詩歌-秋風斷藤曲,朝鮮哀詞五律二十四首中所表現的對朝鮮的認識和感情, 2016.04, 東亞漢學硏究
梁啓超의 中國國民性論 및 朝鮮國民性 批判 探究, 2013.06, 외국학연구
양계초의 시계혁명론이 개화기 한국 시론에 미친 영향, 2009.04, 한국언어문화
陽湖派의 성립 및 桐城派 文論과의 차별성 연구, 2007.08, 중국어문논역총간
중국어권의 고전문학 관련 웹 콘텐츠 현황과 그 시사점, 2007.04, 한국언어문화
劉長卿의 盛唐·中唐時期 詩歌 特徵 變化 考察, 2007.02, 중국어문학논집
明心寶鑑의 流傳, 版本 및 編者에 대한 考察, 2000.06, 중어중문학
桐城派方苞的義法說探討, 1997.08, 중국어문학논집
韓愈的斥佛思想探討, 1995.08, 중국어문학논집 등 40편
■ 저역서
중국인이 노래한 안중근, 2025.05, 보고사
중국 비즈니스 문화와 에티켓(2인공저), 2018.01, 한양대학교 출판부
음빙실문집 천줄읽기, 2015.01, 지식을만드는지식
량치차오, 조선의 망국을 기록하다, 2014.08, 글항아리
(현)중어중문학과 중어중문학과 교수
(전)한양대학교 학생처장
(전)한양대학교 생활관 관장
(전)한양대학교 국제교육원원장
(전)한양대학교 공자학원 원장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서원남 교수는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대만국립정치대학 중문연구소에서 석사를 취득하고, 베이징대학 중문과에서 박사를 취득하였다. 2003년 경주대학교 중국어과 전임강사를 거쳐 2006년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로 자리를 옮겼다.
■ 학력
1992년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중어중문학과 학사
1995년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중어중문학과 석사 수료
1998년 대만국립정치대학 중문연구소 석사
2003년 베이징대학 중어중문학과 박사
■ 경력
2003년 03-07월 단국대학교 시간 강사
2003년 09-2006년2월 경주대학교 중국어과 전임강사
2006년 3월—현재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 연구관심분야
중국고대한어, 중국문헌정리, 중국어교육
■ 주요논문
「문헌정리를 통해서 본 삼가주와 사기의 문헌적 가치」,, 중국언어연구, 2006. 12
- <사기삼가주를 통해서 본 사기 고금자연구」,, 동양학, 2007. 8
- 송대 문헌의 수집과 정리를 통해서 본 사가목록서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논집, 2007.12
- 송대 문헌 정리와 장서에 대한 고찰」,, 2008. 6
- 증국의 개인 장서문화에 대한 고찰」,, 한중언어문화연구, 2008.8
- <설문해자주에 인용된 사기연구-금본사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2008.9
- 천일각의 장서문화에 대한 고찰」,. 힌국학논집, 2009.12
- <史記∙列傳>에 나타난 통가 용례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10.2
- 조선전기 중국 서적의 사입과 구입- 조선왕조실록의 수록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2010.4
- <삼가주와 사기본기 통가자 연구」,, 중국학, 2010.4
- <사기에 보이는 통가 용례 연구」,, 중국문학연구, 2010. 12
- <走”부수 자에 나타난 의미 연구」,, 중국학, 2011.12
- <사기열전을 통해서 본 고금의 용례 연구」,, 중국학, 2012.11
- 劉德新 ˂餘慶堂十二戒˃ 譯註」, 중국어문학논역총간, 2013. 7
- 고한어연구와 사기 문헌 정리」,, 비교문화연구, 2014.6
- <사기 삼가주에 보이는 문자관련 훈고에 대한 고찰」,, 2014.8
- 家訓』譯註,」 중국사연구, 2015.2
- 《史記》 三家注의 교감 연구」, 비교문화연구, 2015.3
- 燕翼篇譯註, 중국사연구, 2015.12
- 중국어 ‘줍다’류 어휘의 역사적 변천과정- ‘捡’이 ‘拾’을 교체한 과정을 중심으로 -」,, 중국문학연구, 2017.11
- 중국 전통 장서루의 쇠퇴와 근대식 도서관의 탄생」,, 중국사연구, 2018.6
- 근대시기 중국 공공도서관의 설립과 발전에 대한 고찰」,, 중국사연구, 2019.8
- 명대 개인 장서가의 장서 활동과 출판사업에 대한 고찰- 모진의 급고각을 중심으로-」,, 중국학, 2022.3
- 明代 書商의 出版 經營에 대한 考察」,, 중국사연구, 2022.4
- 基于『等级标准』的HSK6级社会新闻话题部分命题趋势分析--以2010-2018年HSK6级真题为对象」,, 중국어교육과연구, 2023.7
- 基于文献计量学视角的韩国本土中文考试研究演进分析」,, 중국학, 2024.9
- 청대 장서문화의 특징과 학문적 의의」, 중국학, 2025.3
- 전주와 가차의 상보적 기능에 대한 연구」, 비교문화연구, 2025.6
■ 학회활동
한국중국언어학회 부회장
증국어문학논역학회 부회장
한국중문학회 운영이사
■ 기타
한양대학교 교양중국어교육위원회위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운영이사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의 교수로 재직 중인 고광민 교수는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중문과를 졸업하고, 교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中華民國 國立政治大學 중문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國立臺灣師範大學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력
1995, 한양대학교, 문학사
2000, 중화민국 국립정치대학, 문학석사
2004, 중화민국 국립대만사범대학, 문학박사
■ 경력
2007-2009,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특성화사업단 연구교수
2010-2012,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BK21 사업팀 연구교수
2022-2023, 타이완 국립정치대학교 교환교수
2024-현재, 韓國中國散文學會 회장
2013-현재, 한양대학교 중문과 교수
■ 연구관심분야
중국 고전 산문, 중국 고전 산문의 글쓰기 유형(章法學), 중국어 문학 이론 비평, 중국어 교육
■ 주요논문
《韓愈散文發展研究》, 臺灣國立政治大學 中文硏究所 碩士學位論文, 2000.6.
《柳宗元贈序文作法硏究》, 修辭論叢, 2003.11.
《北宋時期對韓愈接受之研究》,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 博士學位論文, 2004.6.
〈試探「毛潁傳」之寓意〉, 국제중국학연구, 2004.12.
〈韓愈 去陳言에 대한 後代의 인식〉, 중국문학이론, 2005.2.
〈歐陽脩의 韓愈 受用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05.2.
〈韓愈 「進學解」의 패러디 연구〉, 중국어문학지, 2005.6.
〈『順宗實錄』의 永貞革新에 대한 기술 특징과 의의〉, 중국어문학논집, 2006.2.
〈韓愈 散文에 나타난 好勝 성격〉, 중국어문학지, 2006.8.
〈韓愈 古文의 변화 양상 연구〉, 동양학, 2007.2.
〈대학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번역 교육 -현황, 의의 및 방법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지, 2007.8.
〈堯,舜,禹 禪讓 문제를 통해 본 韓愈, 柳宗元 성인관의 특징과 배경〉, 중국어문학논집, 2008.10.
〈韓愈贈序文作法探析〉, 修辭論叢, 2009.1.
〈柳宗元 遊記文에 나타난 情景融合의 과정과 특징 연구〉, 東方學, 2009.4
〈韓愈 贈序散文의 賓主法 硏究〉, 中國學報, 2009.6.
〈以章法觀點去劃分幾篇唐宋古文的段落〉, 중국어문학지, 2009.8.
〈《孟子》의 立破 구문 연구〉, 중국학논총, 2010.2.
〈柳宗元 論辨文의 立破法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10.4.
〈大學 中國語 敎育 評價에 관한 反省과 摸索〉, 한중어언문화연구, 2010.6.
〈韓愈 散文의 繞筆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10.12.
〈韓愈 驅鰐 사건과 鰐魚文의 수용 양상 연구〉, 중국어문학지, 2010.12.
〈의사소통 중심의 고급 중국어회화 수업 모델 연구〉, 중국어교육과연구, 2011.6.
〈《戰國策》의 賓主法 硏究〉, 중국어문학지, 2011.8.
〈韓愈 散文에 나타난 正反 구도의 양상과 특징 연구〉, 중국어문학지, 2011.12.
〈대학 중국 고전 산문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중국어문학논집, 2012.4.
〈章法學을 활용한 중국어 독해 및 작문 수업 안〉, 중국어문학지, 2012.5.
〈章法學으로 본 柳宗元 「永州八記」의 ‘暫得一笑, 已復不樂’ 특징〉, 중국어문학지, 2013,9
〈韓愈 「進學解」와 柳宗元 「答問」의 優劣論- 문장구도분석을 중심으로-〉, 한중언어문화연구, 2013
〈교양 초급중국어 수업의 짝활동과 그룹활동 모델 연구〉, 중국문화연구, 2014,8
〈柳宗元「乞巧文」과 韓愈「送窮文」 優劣論〉, 중국문화연구, 2015,5
〈探討對外漢語寫作敎學新模式〉, 中外文化交流, 2015,5
〈陰陽二元章法으로 고찰한 中國 唐宋 散文 氣勢와 『周易』 八卦와의 연관성 연구〉, 한중언어문화연구, 2016,10
〈韓愈 「張中丞傳後敍」의 후대 수용 연구― 《舊唐書》와 《新唐書》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7,2
〈韓國韓愈散文硏究現狀及其展望〉, 中國文哲硏究通訊, 2017,9
〈韓愈 「送窮文」의 후대 수용 연구― 「送窮文」 모방작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8,4
〈蘇軾 人物論에 나타난 인물 평가의 근거 初探 ― 勢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8,12
〈淺析正史中的女性復仇案〉, 中國散文硏究集刊, 2018,12
〈「史記, 蘇秦·張儀列傳」으로 본 蘇秦·張儀의 설득 방법 초탐〉, 중국어문학논집, 2019,10
〈朝鮮文人對伍子胥的接受〉, 중국어문학논집, 2019,12
〈「史記·四君子列傳」에 나타난 褒貶 양상 연구 ― 養士 관련 記述을 中心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20,10
〈대립의 관점으로 본 「伍子胥列傳」의 구도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21,8
〈宋代文人之伍子胥人物品評小考〉, 中國散文硏究集刊, 2021,12
〈『史記』 대중화의 현황과 전망〉, 中國散文硏究集刊, 2022,12
〈正祖의 韓愈 산문 수용 연구 :『四部手圈』중 韓愈 散文 節錄 특징을 중심으로〉, 中國散文硏究集刊, 2023,12
〈『隨園食單』 속 袁枚의 儒道 실천 양상 연구〉, 中國散文硏究集刊, 2024,12
〈치유의 관점으로 본 柳宗元의 글쓰기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24,12
〈韓信의 謀反사건을 대하는 사마천의 글쓰기 방법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25, 10
■ 주요저·역서
《자를 테면 자르시오(韓愈 散文選)》, 태학사, 2005.
《한유 산문의 형식미 연구》, 진산, 2008.
《그림으로 풀어 쓴 易經》, 김영사, 2010.
《史記에 시비걸기》, 한양대학교출판부, 2022.
■ 학회활동
중국어문학회, 중국어문학연구회, 중국어교육학회, 중국문학이론학회, 중국산문학회, 중국언어문화학회 등.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중어중문학과에 재직 중인 백지영 교수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중국어와 영어를 복수전공하고 동대학원 중어중문학과에서 석사학위논문 “현대중국어 了1과 了2의 관련성 연구: 상적 동일성을 중심으로”으로 문학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스탠포드 대학 동아시아 어문학과에서 박사학위논문 “The Positional Variation of Prepositional Phrases in Chinese: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s”으로 Ph.D.를 취득하였다. 백지영 교수는 학부에서는 현대중국어문법, 통사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대학원에서는 중국어 통사론, 중국어 역사 문법 등의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현대 중국어 문법과 시간성(temporality), 相 (Aspect) 이론, 의미와 통사의 접합층위, 문법화 등이 있다.
■학력
2000 한국외국어대학교 文學士 (중국어, 영어)
2002 한국외국어대학교 文學碩士 (중국어 문법)
2008 Stanford University, Ph.D (Chinese, Applied linguistics)
■경력
2012.09 -현재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2008.08-2012. 08. University of the Pacific, Dept. of Modern Languages and Literature 조교수
2009.06-2009. 07. 일본 熊本大学 訪問學者
2019.09-2020.07 Harvard-Yenching Institute 방문학자
2024.03-2024.08 Stanford University, Center of East Asian Studies 방문학자
■ 연구관심분야
현대 중국어 문법 (상, 의미통사 접합층위, LFG, 어휘의미론, L2/L3), 중국어사 (어순 변화, 문법화)
■ 주요논문
2022 Peck, Jeeyoung. “Semantic and Pragmatic Conditions on Word Order Variation in
Chinese.” In C. Huang, Y. Lin, I. Chen, & Y. Hsu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Chinese Linguistics (Cambridge Handbooks in Language and
Linguistics, pp. 444-466).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Park, Mihi and Jeeyoung Peck (corresponding). “Beneficial effect of
multilingualism in resolving L3 structural complexity: Attention shift from
familiar cue to critical cue.” Linguistic Research 39
2019 Peck, Jeeyoung, and Jingxia Lin. “Semantic Constraint on Preposition
Incorporation of Postverbal Locative PPs in Mandarin Chi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20.1:85-130.
2016 Lin, Jingxia, and Jeeyoung Peck (corresponding). “Classification of Mandarin
Chinese Simple Adjectives: A Scale-Based Analysis of Their Quantitative
Denotations.” Language and Linguistics 17.6: 827-855.
■ 학회활동
Guest editor of Language and Linguistics Vol.20.1 (2018) & Vol.20.2 (2019)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hinese Linguistics 23 special issue, The interface of semantics & etymology, morphosyntax and pragmatics in Chinese, with Ik-sang Eom, Associate editor of Journal of Chinese Linguistics in Korea (2016-2017)
한국중국언어학회 섭외이사 (2024-2025)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편집위원 (2020-2026)
■ 자기소개
이상임 교수는 미국 NYU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UMass Amherst에서 강의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후 홍콩중문대학에서 박사후 과정을 거쳐, 대만 국립양명교통대학에서 조교수, 부교수로 재직하였다. 중국어 음성음운 현상, 중국어 습득과 관련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였고, 국제저명학술지에 연구 성과물들을 다수 발표하였다. 국내외 연구자들과 폭넓게 교류하고 연구하여 중국언어학의 발전을 선도하는데 매진하고 있다.
■ 연구분야
실험음운론, 음성학, 제2언어습득, 중국어학
■ 학력
2009-2014 New York University, 언어학 박사
2005-2007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 석사
1998-2003 서울대학교, 생물교육학 학사
■ 경력
2023.03-현재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부교수
2021.08-2023.02 대만 국립양명교통대학교, 외국어문학과, 부교수
2017.02-2021.07 대만 국립양명교통대학교, 외국어문학과, 조교수
2015-2016 홍콩중문대학교, 언어학과, 박사후연구원
2014-2015 UMass Amherst, 언어학과, 강사
■ 국제저널 편집 활동
2025 Laboratory Phonology Guest Editor
2025.01- Laboratory Phonology Board Member
2025.01- Language and Linguistics Compass Section Editor
2026.01- Linguistics Vanguard Area Editor
■ 주요논문
- 2025 Lee-Kim, Sang-Im and Hsiang-Yu Tung. Linguistic experience and social factors in speech perception: The case of merged speakers of Mandarin sibilants. Laboratory Phonology 16(1), 1-31.
- 2024 Qin, Zhen, Sang-Im Lee-Kim, & Haifeng Qi. The effect of second-language learning experience on Korean listeners’ use of pitch cues in the perception of Cantonese tones. Second Language Research.
- 2024 Lee-Kim, Sang-Im and Yun-Chieh Chou. Unmerging the sibilant merger via phonetic imitation: Phonetic, phonological, and social factors. Journal of Phonetics, 103. Article 101298.
- 2023 Weng, Wei-cheng and Sang-Im Lee-Kim. Loss of unreleased final stops among Mandarin-Min bilinguals: Structural convergence of languages in contact. Journal of Phonetics, 101. Article 101279.
- 2022 Gussenhoven, Carlos, Yu-An Lu, Sang-Im Lee-Kim, Chunhui Liu, Hamed Rahmani, Tomas Riad, and Hatice Zora. The Sequence Recall Task and lexicality of tone: Exploring tone “deafness”. Frontiers in Psychology, 13, 902569.
- 2022 Lee-Kim, Sang-Im and Yun-Chieh Chou. Unmerging the sibilant merger among speakers of Taiwan Mandarin. Laboratory Phonology, 13(1), 10.
- 2021 Lee-Kim, Sang-Im, Xinran Ren, & Peggy Mok. Phonological similarity effects in cross-script word processing: Evidence from Sino-Korean word processing by Cantonese learners. The Mental Lexicon 16(2/3), 325−361.
- 2021 Lu, Yu-an and Sang-Im Lee-Kim. The effect of linguistic experience on perceived vowel duration: Evidence from Taiwan Mandarin speakers. Journal of Phonetics 86, 101049.
- 2021 Lee-Kim, Sang-Im. Development of Mandarin tones and segments by Korean learners: from naïve listeners to novice learners. Journal of Phonetics 86, 101036.
- 2021 Lee-Kim, Sang-Im. Contrastive perception of duration and F0 cues for stop categorization. JASA Express Letters 1(2), 025203.
- 2020 Lee-Kim, Sang-Im. Stop laryngeal distinctions driven by contrastive effects of neighboring tones. Language and Speech 64(1), 98−122.
- 2020 Lee-Kim, Sang-Im. Tone-induced split in stop category mapping by Korean-speaking learners of Mandarin Chi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21(1), 54−79.
- 2016 Lee-Kim, Sang-Im. Syntax-based phonological asymmetries: The case of adjective reduplication in Mandarin Chinese. Lingua 179, 1−23.
- 2014 Lee-Kim, Sang-Im. Revisiting Mandarin “apical vowels”: An articulatory and acoustic stud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44(3), 261−282.
- 2014 Lee-Kim, Sang-Im, Shigeto Kawahara, & Seunghun J. Lee. The “Whistled” fricative in Xitsonga: Its articulation and acoustics. Phonetica 71(1), 50−81.
- 2013 Lee-Kim, Sang-Im, Lisa Davidson, & Sangjin Hwang. Morphological effects on the darkness of English intervocalic /l/. Laboratory Phonology 4(2), 475−511.
■ 자기소개
손주연 교수는 고려대학교에서 동양사와 중문학을 이중전공하고 동대학원 중어중문학과에서 “무스잉(穆時英) 소설의 중층적 욕망 연구”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1930년대 중국 소설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켜 푸단대학(復旦大學) 중어중문학과에서 “20世紀30年代中國小說的先鋒性硏究”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손주연 교수는 고려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강의와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고려대학교 BK21 PLUS 중일언어문화교육연구단의 연구교수를 거쳐 목포대학교 중국언어와문화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중국 현대소설 뿐만 아니라 당대소설 및 문화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문학의 외연을 넓혀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연계성 속에서 중문학을 발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 학력
• 2007, 고려대학교 문학사 (동양사·중어중문)
• 2010,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 문학석사 (중국현대문학)
• 2016, 復旦大學 中國語言文學系 문학박사 (중국현당대문학)
■ 경력
• 2023.09.~현재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부교수
• 2020.09.~2023.08. 목포대학교 중국언어와문화학과 조교수
• 2016.09.~2018.08. 고려대학교 BK21 PLUS 중일언어문화교육연구단 연구교수
■ 연구관심분야
중국현당대소설 및 문학 이론 연구, 중국 영화·드라마 연구
■ 주요논문
• Chinese Science Fic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 Study on Hao Jingfang’s Mirror of Man, Forum for World Literature Studies, Vol.17, No.1, 2025 (SCOPUS)
• 「로맨스 코미디에서 신주류영화로의 변주 ― SF+코미디(科幻+喜劇) <문맨(獨行月球)> 연구」, 중국학논총 제83집, 2024
• 「중국 SF의 포스트휴머니즘적 문학 상상 — 류츠신(劉慈欣) 《삼체(三體)》를 중심으로」, 한중언어문화연구 제65집, 2022
• 「중일전쟁시기 인간 실존에 관한 문학적 고찰 — 바진(巴金)의 《차가운 밤(寒夜)》을 중심으로」, 중국소설논총 제67집, 2022
• 「여성의 시각에서 보는 상하이(上海) 도시 공간 : 왕안이(王安憶) 소설 《푸핑(富萍)》 읽기」, 스토리앤이미지텔링 제23집, 2022
• 「荒诞世界中的反抗者 — 李乔短篇小说初探」, 중국어문논역총간 제51집, 2022
• 「중국 인터넷 공간에서의 코로나19 담론 연구」, 한중언어문화연구 제63집, 2022
• 「중국 다큐멘터리 산업의 제작 및 소비 양상 연구 ― 중국 문화정책과 바이두(百度)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제49집, 2021
• 「민족주의로 재구성된 난징대학살의 기억 ― 옌거링(嚴歌苓)의 《진링의 13소녀(金陵十三釵)》에 대한 일고찰」, 중국학논총 제57집, 2020
• 「권력으로 읽는 성(性)― 옌롄커(閻連科) 소설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爲人民服務)》에 대한 시론」, 중국현대문학 제88집, 2019
• 「문화적 징후로서의 80허우(80後) — 장웨란(張悅然) 장편소설 《고치(繭)》 연구」, 중국어문논총 제95집, 2019
• 「영화 《색|계》의 공간성 연구」, 중국학논총 제64집, 2019
• 「동일화와 세계화의 욕망— 중국 주선율(主旋律) 다큐멘터리의 문화전략에 대한 일고찰」, 중국어문논총 제90집, 2018
• 「일상으로 기억되는 역사 - 한사오궁(韓少功) 《일야서(日夜書)》에 내재된 윤리의식 연구, 중국소설논총 제55집, 2018
• 「역사적·문화적 ‘중간물’로서의 여성 ― 린후이인(林徽因) 단편소설에 관한 일고찰」, 중국어문논역총간 제42집, 2018
• 「CCTV 다큐멘터리에 내재된 중국의 문화민족주의 ― 《와이탄(外灘)》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제41집, 2017년
• Juyeon Son & Sunyoon Lee, Vision and Ethics in East Asian Science Fiction: Kobo Abe and Liu Cixin,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terature, Vol.1, No.3, 2017 (A&HCI)
• 「류전윈(劉震雲) 소설 《핸드폰(手機)》에 나타난 일상성의 이중구조 ― ‘언어’를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제54집, 2016년
■ 학회활동
• 중국어문연구회 편집위원장 및 수석편집이사 (2021~2022)
• 중국어문연구회 연구이사 및 편집위원 (2025~2027)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섭외이사 (2025~2027)
• 중국현대문학학회 운영이사 (2024~2026)
• 중국문화연구학회 운영이사 (2025~2027)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중어중문학과에 재직 중인 손예철(孫叡徹) 교수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대만대학교에서 문학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손예철 교수는 대학 학부에서는 중국문자학, 중국어학개론, 경서 강독, 중국문화개론, 중국어 등의 과목을, 대학원에서는 중국언어학사, 중국문자학 연구, 갑골문 연구, 금문 연구, 설문해자연구, 중국경학사, 경서 연구 등의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손예철 교수는 ≪東亞 프라임 中韓辭典≫(탁상판)⦁≪東亞 프라임 中韓辭典≫(콘사이스판)⦁(포켓판) 및 ≪東亞 프라임 中韓⦁韓中辭典≫(中韓 : 孫叡徹, 韓中 : 中國商務印書館編輯部, 합본 콘사이스판)⦁(합본 포켓판) 등의 중한(中韓) 사전 편저자이며, 대우 학술 논저로 출판된 ≪중국문자학≫을 비롯한 많은 저서가 있고, 또 대우 학술 총서로 출판된 역서(譯書) ≪殷代貞卜人物通考≫Ⅰ.Ⅱ.Ⅲ.이 있다. 그리고 ≪中國學報≫, ≪中國文學≫, ≪中國語文學≫, ≪國際中國學硏究≫, ≪中國文化硏究≫ 등의 학술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이런 저서와 논문들을 통해 손예철 교수는 우리나라에 甲骨學을 비롯한 中國文字學 전반을 본격적으로 소개 연구하였다.
그는 또 백남학술상을 수상하기도 하였고, 그의 저서 ≪중국문자학≫은 문광부의 우수 저서로 선정되기도 하였으며; 한국중국학회 회장, 문광부 국어심의위원회 위원, 사법고시 출제위원, 외무고시 출제위원, 교육부 중국어 교재 심의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2년 1개월에 걸쳐 조선일보에 “현대 중국어”를 매일 연재하였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학장으로 봉직하면서 중국문화연구회 이사, 영남중국어문학회 이사, 서울시 중국어표기 자문위원회 위원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학력
1976, 서울大學校 中語中文學科 卒業(文學士)
1980, 國立臺灣大學校 大學院 中文學科 碩士班 卒業(文學碩士)
1986, 國立臺灣大學校 大學院 中文學科 博士班 卒業(文學博士)
■ 경력
1982. 09. ~ 1984. 09. 漢陽大學校 中語中文學科 專任講師
1984. 10. ~ 1988. 08. 漢陽大學校 中語中文學科 助敎授
1988. 09. ~ 1993. 08. 漢陽大學校 中語中文學科 副敎授
1993. 09. ~ 現在 漢陽大學校 中語中文學科 敎授
1992. 02. ~ 1993. 01. 美國 Harvard大學 E.A.L.C.(東亞學科) 客座敎授
2004. 09. ~ 2005. 08. 中華民國 國立政治大學校 交換敎授
2002. 08. ~ 2004. 07. 한양대학교 출판부장.
2002. 09. ~ 2004. 08. 한국중국학회 회장.
2003. 04. ~ 2004. 08. 한양대학교 부설 인문학연구소 소장.
2008. 08. ~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학장
■ 연구관심분야
현대 중국어 회화, 현대 중국어 문법, 중국 고문, 중국 고문법, 중국어학사, 중국문자학, 갑골학, 금문, 설문해자, 중국 훈고학, 중국 성운학, 중국 경학, 사서오경, 제자백가, 중국 경학사, 중국학 연구 방법론
■ 주요논문
<甲骨祭祀卜辭中의 犧牲考> ≪中國文學≫第7輯 1980.
<甲骨卜辭에 나타난 殷王室의 世系考> 漢陽大 ≪人文論叢≫第8輯 1984.
<漢字의 造字法「六書」硏究> 서울大 ≪東亞文化≫第23輯 1985.
<漢字의 起源 考察>≪中國學報≫第27輯 1987.
<甲骨卜辭에 나타난 殷商代 祭祀의 種類>≪中國學報≫第28輯 1988.
<≪說文解字≫「闕如」考> ≪中國文學≫第19輯 1991.
<中國의 文字政策과 그 展望> 西江大 ≪東亞硏究≫第24輯 1992.
<甲骨卜辭에 나타난 殷商代 祭祀의 對象> ≪中國學報≫ 第33輯 1993.
<≪說文解字≫ ‘省形’考>--或體字를 中心으로-- ≪中國文學≫第23輯 1995.
<甲骨 對貞卜辭의 省略文型 探究> ≪中國語文學≫第30輯 1997.
<≪說文解字≫中의 古文 省形, 省聲考> ≪中國語文學≫第32輯 1998.
<≪說文解字≫에 나타난 形聲字 義符 省形考> ≪中國文學≫第31輯 1999.
<≪說文解字≫ 中의 其他 重文의 省形,省聲考> ≪中國學報≫第42輯 2000.
<≪說文解字≫ 小篆體 重複字 硏究> ≪中國文學≫ 第35輯 2001.
<‘家’字와 ‘族’字의 形義考> ≪中國學報≫ 第48輯 2003.
<丁若鏞治≪大學≫的幾個特點> 臺灣大 ≪臺灣東亞文明硏究學刊≫ 第2卷 第1期, 2005.
<≪說文解字≫ ‘老’部字 形音義考> ≪中國學報≫第51輯,2005.
<‘聖’字的形音義與其經傳中的含意> ≪中國文化硏究≫第8輯, 2006.
<說‘牢’ㆍ‘’> ≪國際中國學硏究≫第9輯, 2006.
<中國의 ‘簡化字’와 日本의 ‘略字’ 字形 비교> ≪中國學報≫第59輯 2009.
■ 주요저서
≪中國語會話 Ⅲ≫ 許璧과 共著 韓國放送通信大學 1987. 서울.
≪새로엮은 大學中國語≫ 本人외 4人과 共著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서울.
≪東亞 프라임 中韓辭典≫ (주)두산동아 2002.서울.
≪東亞 프라임 中韓辭典≫(콘사이스판) (주)두산동아 2003. 서울.
≪中國文字學≫ 아카넷 2003. 서울.
■ 자기소개
現在 漢陽大學校 中語中文學科의 敎授로 在職 중인 李光哲 敎授는 延世大學校 中語中文學科를 卒業하고 國立臺灣大學校에서 中文學 碩士學位를 취득하였으며, 延世大學校에서 中文學 博士學位를 취득하였다.
이교수는 中國古代文學의 이해, 中國詩歌鑑賞, 唐宋詩歌鑑賞, 詩와 中國文化, 中國文學批評의 이해 등을 講義하고 있다.
主要 著書로는 ‘謝靈運詩硏究’, ‘魏晉南北朝文學硏究` 등이 있으며, 中語中文學, 中國學報, 中國語文學論集 등 國內外 主要學術誌에 20여 편의 論文을 발표한 바 있다.
中國語文學硏究會 會長, 韓國中語中文學會 副會長 등을 歷任하였다.
■ 학력
1981,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학사
1987, 국립대만대학교, 중문학석사
1994, 연세대학교, 중문학박사
■ 경력
1995-현재,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 연구관심분야
魏晉南北朝文學, 唐宋詩歌, 詩와 中國文化.
■ 주요논문
"鍾嶸『詩品』謝靈運條考(I)", 中國學報, 38輯, 1998.
"南朝山水詩硏究", 中國語文學論集, 12號, 1999.
"謝靈運山水詩의 自然背景考察", 中國語文學論集, 29號, 2004.
■ 주요저서
‘謝靈運詩硏究’
‘魏晉南北朝文學硏究`
■ 학회활동
中國語文學硏究會: 會長, 2004-2006.
韓國中語中文學會: 副會長, 2006-2008.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중어중문학과에 재직 중인 오수경 교수는 서울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대만대학교에서 문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오수경 교수는 대학 학부에서는 중국 고대문학의 이해, 중국 근대문학의 이해, 중국민간가요와 대중문화, 중국 희곡과 미디어문화를 강의하고 있으며, 대학원에서는 중국 희곡 연구, 명청 희곡 연구, 중국 지방희 연구, 강창문학과 지역문화, 중국 현대희곡 연구, 중국 속문학 연구 등의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중국 희곡의 텍스트 연구에 그치지 않고 공연과 공연 환경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국 연극사 이해의 폭을 넓힌 대표적인 연구자이며, 한중 수교 이후 지금까지 중국과의 공연 예술 교류, 무형문화유산 교류 현장에서 활발한 활동을 해 온 중국 전문가이다. 연극 평론가와 번역가로도 활동 중이다.
현재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 학력
1979 서울大學校 中語中文學科 卒業(文學士)
1983 國立臺灣大學校 中國文學硏究所 卒業(文學碩士)
1992 서울大學校 大學院 卒業(文學博士)
■ 경력
1993. 03. ~ 1995. 02. 漢陽大學校 中語中文學科 專任講師
1995. 03. ~ 1999. 02. 漢陽大學校 中語中文學科 助敎授
1999. 03. ~ 2004. 02. 漢陽大學校 中語中文學科 副敎授
2004. 03. ~ 現在 漢陽大學校 中語中文學科 敎授
1990. 01. ~ 1990. 07. 美國 Harvard大學 E.A.L.C.(東亞學科) 訪問學者
1998. 08. ~ 1999. 07. 美國 Harvard-Yenching Institute 訪問學者
2008. 08. ~ 2009. 07. 中國 淸華大學 교환교수(高級訪問學者)
2005. 08. ~ 2007. 07. 한양대학교 학생처 여학생실장
2010. 03. ~ 현재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 연구관심분야
중국희곡
■ 주요논문
"《張協狀元》과《琵琶記》의 비교연구" ("中國戱曲"),
"《五倫全備記》연구--민간남희연출본의 특색" ("中國文學")
"試探南戱音樂體制中曲破的運用" ("文獻"),
"奎章閣本《五倫全備記》初考" ("中華戱曲"),
"明初民間戱劇環境硏究" ("民俗曲藝"),
"從“文本”問題看中國戱劇硏究的本質回歸" ("戱劇藝術")
"중국 호랑이연희 연구" ("민속학연구")
"중국 고대 호랑이신앙 연구" ("비교민속학")
"중국 전통극의 현대화 작업에 관한 연구" ("성곡논총")
"韓國傳統藝能的傳承現況及其反思" ("非物質文化遺??究集刊")等 60여편.
■ 주요저서
공저: "중국문학 어떻게 공부할까" "BeSeTo10년사" "세계의 축제와 공연문화"
역서: "삼인삼색-2008한국희극무대현장" (중문,), "한국연극사"(중문), "중국고대극장의 역사" (국문) "버스정류장" (국문) "피안"(국문)
■ 학회활동
한국중국희곡학회 부회장
한국하버드엔칭학회 부회장
중국어문학지, 동아시아문화연구 편집위원
한국연극학회 이사, 우리춤연구소 운영위원
한국연극평론가협회, 비교민속학회, 한국공연문화학회, 한국중국어문학회 회원
■ 기타
베세토연극제 국제위원
한국 ITI 이사
■ 자기소개
엄익상 한양대 교수는 1991년 인디애나대학교 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에서 비교언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08년부터 중국 후난대학교 교수를 겸임하고 있다. 현재 중국어음운론, 중국어교육론, 방언학, 한중비교언어학 등을 강의하면서, 중국어음운론과 한국한자음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인 『한국한자음 중국식으로 보기』(2008)와 『중국 언어학 한국식으로 하기』(2002)가 있으며, 공저로 『중국어 교육 어떻게 할까』(2005)와 Lexical Diffusion of Sound Change in Korean and Sino-Korean (Berkeley, 2003), Perspectives on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Taipei, 2010) 등이 있다. 또 韓漢語言硏究系列과 中國語言與文化硏究系列 등 중국어로된 전문 연구서를 시리즈를 편집출판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 미국, 중국, 대만, 유럽 등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80여 편 발표하였다. 국제중국언어학회(IACL) 이사를 두 차례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중어중문학회, 한국중국언어학회, 중국어문학연구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서울의 새로운 중국어 명칭인 看?를 최초로 제안하고 선정 보급에 노력한 공로로 서울특별시장상(2005)과 서울정책인대상 본상(2006)을 수상하였으며, 한양대학교 우수강의교수상(2006, 2007) 및 최우수연구교수상(2009) 등을 수상하였다.
■ 학력
1991 인디애나대학교 동아시아언어문화과 박사
1985 연세대학교 중문과 석사
1981 연세대학교 중문과 학사
■ 경력
2008-현재 중국 후난대학교 겸임교수
2001-2003 숙명여자대학교 중문과 부교수, 교수
1993-2001 강원대학교 중문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1991-1993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동아시아어문학과, 조교수
■ 연구관심분야
중국어음운론,
중국어교육론,
한중비교언어학
■ 주요논문
「중국어 외래어 표기법 발음 괴리의 문제」『중국어문학논집』54(2009)
「한국 한자음에 관한 칼그렌 가설의 문제점」『중국문학』53(2008)
「계량적 연구를 통해본 중국 방언의 분리와 통합」『중어중문학』34(2004)
■ 주요저서
『한국한자음 중국식으로 보기』(한국문화사, 2008)
『중국언어학 한국식으로 하기』(한국문화사, 2002, 2005)
『중국어 교육 어떻게 할까』(공저, 한국문화사, 2005)
■ 수상경력
서울정책인대상 (2006), 서울특별시장상 (2005),
한양대학교 최우수연구교수상 (2009), 우수강의교수상 (2007, 2008)
■ 학회활동
한국중어중문학회 부회장
한국중국언어학회 부회장
국제중국언어학회(IACL) 한국연락대표
■ 기타
HSK 한국위원회 위원
문화체육관광부 어문평가자문위원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어문규범자문위원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방문부교수 (1999)
이기정
총장
김성제
명예교수
이미선
교수
조태홍
교수
윤성호
교수
MATHEWS PETER DAVID
교수
챔사이통크리스다
교수
유재은
교수
이형섭
부교수
임서희
부교수
이영인
강사
김소연
강사
김윤정
강사
■ 소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한 남윤주교수는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건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언어커뮤니케이션학(인지신경언어학) 박사(2013)를 취득하였으며,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교수(2015-2018)를 거쳐 건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연구전임교수(2018-2022)로 재직하였다. 한양대에서는 2022년 9월 1일부터 현대독어학, 신경심리독어학, 독어학연구방법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융복합 인지신경심리언어학 및 독어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활동을 펼치고 있는 남윤주 교수는 Language, Cognition and Neuroscience (Q1), Brain and Language (Q1),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Q2) 등 신경/심리언어학 분야 최상위 국제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2019-2021년「언어커뮤니케이션의 화용적 특성에 관한 인지신경언어학적 고찰」, 2022-2025년「한국인 독일어 L2 학습자의 화용 처리에 관한 인지신경언어학적 연구」등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연구프로젝트를 수차례 실행하였다.
한국심리언어학회 연구이사, 한국 언어정보학회의 총무이사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언어학회 홍보이사, 한국응용언어학회의 국제협력이사, 한국심리언어학회 연구이사, 한국 독어학회 연구이사로 활동중이다.
■ 학력
2006,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학사, 경제학부 경제학사
2008,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석사
2013, 건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문학박사
■ 경력
2015-2018,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지원사업 학술연구교수
2018-2022, 건국대학교 KU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연구전임 조교수, 부교수
2022-현재, 한양대학교 교수
■ 연구관심분야
현대 독어학, 이중언어습득 및 처리, 심리언어학(문장 및 담화 처리), 인지/신경언어학,
뇌파측정기법(EEG/ERP), 안구운동추적기법(Eye-movement tracking)
■ 주요논문
Nam, Y et al. (2022). Eye Movement Patterns Reflecting Cybersickness: Evidence from Different Experience Modes of a Virtual Reality Game.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SSCI, IF 4.157, Experimental Psychology Q1), 25(2), 135-139. (First Author)
Nam, Y et al. (2021). Electrophysiological correlates of the action vs. role relations congruences in visually situated auditory sentence processing in Korean, Language, Cognition and Neuroscience (SSCI, IF 1.925, Linguistics Q1), 36(5), 649-667. (Corresponding Author)
Nam, Y., & Hong, U. (2019). Behavioral and neural evidence on the processing of ambiguous adjective-noun dependencies in Korean sentence comprehension. Brain and Language (SSCI, IF. 2.852, Linguistics Q1), 188, 28-41. (First Author)
Gerth, S., Otto, C., Nam, Y., & Felser, C. (2017). Strength of garden-path effects in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processing of subject-object ambigu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ism (A&HCI & SSCI, IF 1.693, Linguistics Q2). 21(2), 125-144. (Co-Author)
Nam, Y., & Hong, U. (2016). Local and global semantic integration in an argument structure: ERP evidence from Korean. Brain Research (SCI, IF. 2.843, Neuroscience Q2), 1642, 590-602. (First-Author)
Nam, Y., Chung, H., & Y-J, K. (2021). An Eye-Tracking Study on the Word Order Preference and the Effect of Phrasal Length in Korea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SCOPUS), 26(4), 964-974. (First Author)
Kim, S., Hong, U., & Nam, Y.(2022) An ERP Evidence on the German Scrambled Sentence Processing of Korean L2 Learners, An ERP Evidence on the German Scrambled Sentence Processing of Korean L2 Learners (KCI), 26(1), 1-22. (Corresponding Author)
■ 학회활동
한국언어학회 홍보이사, 한국응용언어학회의 국제협력이사, 한국심리언어학회 연구이사, 한국 독어학회 연구이사
■ 자기소개
김희근 교수는 한양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독어독문학을 전공한 뒤 독일로 건너가 독문학과 사회학을 공부했다. 독일 뮌스터 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서 [하이네의 역사사상과 유대교]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인문과학대학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독일문학, 유럽 역사 및 문화사를 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하이네와 메시아주의], [레싱과 멘델스존의 유대인 문제 해결 모색], [되블린의 시오니즘 비판과 현대 유대교의 미래], [독일 전후 문학에 나타난 유대인 이미지], [시민사회 비판으로서의 문학], [가해자 시각에서 본 반유대주의] 등 다수가 있으며, 저서로 [Die messianische Verheissung in Heinrich Heines Geschichtsdenken], [성과 속, 그 사이에서의 문학 연구](공저), 요제프 로트의 [거미줄](역)이 있다.
또한 한국괴테학회, 한국독어독문학회, 한국독일언어문학회, 한국문학과종교학회 등에서 다양한 학술활동을 펼치며 관심분야인 근대독일문학 및 문화사, 유대사상 연구의 영역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 학력
한양대학교 독어독문학 학사
한양대학교 독어독문학 석사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독문학 박사
■ 연구관심분야
독일근대문학, 유럽 역사 및 문화사, 문학과 종교, 유대사상 등
■ 주요논문
-“하이네와 메시아주의 Heinrich Heines Messianismus”,(독일문학)
-“하이네의 전통개념-하이네의 모세스 멘델스존수용을 중심으로 Eine Untersuchung zu Heinrich Heines Traditionsbegriff am Beispiel seiner Moses Mendelssohn-Rezeption”,(독일문학)
-“레싱과 멘델스존의 유대인 문제 해결 모색 Die Suche nach Lösung der Judenfrage bei G. L. Lessing und M. Mendelssohn – mit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von Dide Juden und Jerusalem”(괴테연구)
-“하이네와 되블린의 동방유대교 수용 Zur Ostjudentum-Rezeption von Heine und Döblin”(괴테연구)
-“하이네의 [히브리 선율]에 나타난 미래와 현재의 대비 Der Kontrast zwischen Zukunft und gegenwärtiger Zeit in H. Heines Hebräischen Melodien”(독일문학)
-“엘제 라스커 쉴러의 유대전통 수용Else Lasker-Schülers Rezeption der jüdischen Tradition und Suche nach der Zukunft des modernen Judentums mit Berücksichtigung von Der Wunderrabbiner von Barcelona”(독일언어문학)
-“되블린의 시오니즘 비판과 현대 유대교의 미래 Alfred Döblins Zionismuskritik und die Zukunft des modernen Judentums”(괴테연구)
-“라베의 [배고픈 목사]를 통해 본 문화적 코드로서의 반유대주의 Antisemitismus als kultureller Code am Beispiel von W. Raabes Der Hungerpastor”(독일언어문학)
-“하이네와 동화유대인 Heine und die assimilierten Juden in Bezug auf seine Kritik an dem Verein für Cultur und Wissenschaft der Juden”(괴테연구)
-“욥기 수용을 통해 본 요셉 로트의 현대 유대교 진단 Zu Joseph Roths Diagnose der Situation des modernen Judentums am Beispiel von Hiob. Roman eines einfachen Mannes”(독일언어문학)
-“전후문학에 나타난 유대인 이미지 Judenbilder in der Nachkriegsliter aturam Beispiel von Heinrich Bölls Wo warst du, Adam?”(괴테연구)
-“가해자의 시각에서 바라 본 반유대주의 Antisemitismus aus der Sicht des Täters am Beispiel von Joseph Roths Das Spinnennetz”(독일언어문학)
-“하이네와 디아스포라 Heines Diasporabegriff mit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von Der Rabbi von Bacherach”(괴테연구)
-“하이네의 문학에 있어서 신앙과 이성의 문제 The Problem of Faith and Reason for Heine’s Works”(문학과종교)
-“안더쉬의 [에프라임]에 나타난 홀로코스트 이후의 유대인상 Judenbilder nach dem Holocaust am Beispiel von A. Anderschs Efraim”(독일언어문학)
-“[셰익스피어의 소녀들과 여인들]을 통해 본 하이네의 샤일록 수용 Heines Shylock-Rezeption am Beispiel von Shakespeares Mädchen und Frauen”(독일언어문학)
-“리온 포이히트방어의 [톨레도의 유대인 여성]에 나타난 초월과 비전으로서의 유대교 Judentum als Darüberstehen und Vision in Lion Feuchtwangers Roman Die Jüdin von Toledo”(독일언어문학)
-“시민사회 비판으로서의 문학 – 리온 포이히트방어의 [오퍼만가 남매들]을 중심으로 Literatur als eine Kritik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von Lion Feuchtwangers Roman Die Geschwister Oppermann”(독일언어문학)
-“야콥 바서만의 [치른도르프의 유대인]에 나타난 메시아상 Das Messiasbild in Jakob Wassermanns Roman Die Juden von Zirndorf”(독일언어문학)
■ 주요저서
[Die messianische Verheissung in Heinrich Heines Geschichtsdenken](국외)
[성과 속, 그 사이에서의 문학 연구](공저),
요제프 로트 Joseph Roth의 [거미줄 Das Spinnennetz](역)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대학의 독문학과/미디어문화전공 교수로 재직 중인 피종호 교수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을 졸업하고 독일 쾰른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독문예학, 포스트모더니즘 이론 미디어이론, 미디어사, 영화이론, 상호매체성, 대중문화이론, 뉴미디어이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그는 대중문화/시나리오 협동과정 전공주임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유럽영화예술’, ‘몸의 위기’, ‘해체미학’, ‘디지털미디어와 예술의 확장’, ‘모더니즘의 영화미학’, ‘영화와 탈신화’, ‘문학의 탈경계와 상호예술성’ 등이 있으며, 독일문학, 브레히트연구, 뷔히너와 현대문학, 카프카연구 등 국내학술지와 독일학자들과의 라운드테이블 및 학술대회를 통해 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현재 한양대학교 출판부장 및 미디어문화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그리고 한국카프카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미디어문화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학력
1977,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학사
1991, Universitat zu Köln 독어독문학과 박사
■ 경력
1995-현재 한양대학교 교수
2000-2003, 한양대학교 인문학부 학부장
2001-2003, 한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소장
2003-2004,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 객원교수
2007-2008, 한국카프카학회 회장
2007-현재, 한양대학교 미디어문화연구소 소장
2007-현재, 한양대학교 대학원 대중문화/시나리오 협동과정 전공주임
2007-현재, 한양대학교 출판부 출판부장
2007-현재, 한국미디어문화학회 회장
■ 연구관심분야
독문예학, 포스트모더니즘, 영상미학, 영화이론, 미디어이론, 미디어문화
■ 주요논문
“문학과 회화의 경계 또는 경계를 넘어서”, 카프카연구, 제 19집(2008)
“Die Phänomenologie der Intermedialität. Ein Vergleich zwischen dem deutschen und dem koreanischen Film” In: Jürgen E. Müller (Ed.), Media Encounters and Media Theories, Münster 2008, S. 147-158.
“영화와 회화의 상호매체성. 피터 그린어웨이의 영화와 바로크회화”, 카프카연구, 제 21집(2009)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대학의 교수로 재직 중인 이강호 교수는 연세대학교 문과대학을 졸업하고 독일 튀빙엔 대학교에서 독어독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Verbale Aspektualitaet im Koreanischen und im Deutschen mit bersonderer Berueksichtigung der aspektuellen Verbalperiphrasen (한국어와 독일어의 相연구 - 상적 구절을 중심으로 ), 공간/이동의 개념과 언어화 - 인지언어학적인 분석이 있으며,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한국독어학회, 한국독일어교육학회, 한국 텍스트언어학회 등 국내외 학술지에 40여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고등학교 2종교과서 검정심사위원장, 현대독어학회 회장, 한국 텍스트언어학회 회장, 한국 훔볼트클럽 이사, 한국교육과정평가위원,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회장, 독일어문학회 편집이사,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연구기획이사, 한국독어학회 상임연구이사 및 편집위원, 훔볼트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 학력
1974-1978: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독어독문과 (학사)
1980-1983: 연세대학교 대학원 독어독문학과 (석사)
1983-1984: 독일 슈투트가르트대학교 독어독문과 수학
1984-1990: 독일 튀빙엔 대학교 독어독문학과(박사)
■ 경력
1990.9.1-1990.12.20: 한양, 연세,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1995.7.10-1997.7.9: 고등학교 2종교과서 검정심사위원장
1996.2.1-1997.1.31: 독일 백림 자유대학교 객원교수
1998.6.13.-1998.8.29: "한국독어학회" 창립준비위원회 위원장
2001.2.-2004.1.10: 고등학교 2종교과서 검정심사위원장
2004.1.1.-2004.12.31.: 미국 Oregon 대학교 객원교수
2011.3.1.-2012.2.28.: 미국 Oregon State 대학교 객원교수
■ 연구관심분야
독어학, 일반언어학, 텍스트언어학
■ 주요논문
1. Gottfried Keller의 작품에 나타난 Humor기법연구 - "Die Leute von Seldwyla"를 중심으로, 1983 (=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 의미(Bedeutung)의 문제 - J.P.Grice의 '의미'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죽포 정경석 교수 정년기념 논문집, 1986, pp.95-112
3. 독일어의 문법적 범주로서의 相연구 (I) - kommen구절유형과 bringen 구절유형을 중심으로, 여암 장기욱교수 정년기념 논문집, 1989, pp.72-107
4. 독일어의 시제와 상에 관한 연구 - 시제 형태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제 21집,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1991, pp. 199-203
5 Honorativ im Koreanischen (우리말의 대우법연구 - 주체대우법의 문제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제 23집, 한양대학교 인문 과학대학, 1993, pp. 157-181
6. Bemerkungen zu Problemen in der kontrastiven Linguistik (비교언어학의 문제점), 독어교육 제 11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1993, pp. 67-83
7. 4 Grundprinzipien in der funktionellen Beschreibung (기능언어학적 서술의 4가지 기본원리), 인문논총 제 24집,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1994, pp. 42-70
8. Kontrastive Linguistik und Fremdsprachenunterricht (비교언어학과 외국어 교육), 독어교육 제 12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1994, pp. 5-16
9. Arten von Inhalten (= Bedeutung, Bezeichnung, Sinn) und funktionelle Linguistik (의미의 3가지 종류와 기능언어학), 인문논총 제 25집,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1995, pp. 273-292
10 "System", "Norm" und "Rede" nach E. Coseriu (언어의 3가지 층위), 독어교육 제 13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1995, pp. 239-250
11. N.Chomsky의 최소주의 이론의 업적과 한계(I) - "동사구내 주어가설"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제 27집, 제 27권,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1997, pp. 221-248
12. Das Honorativsystem des Koreanischen und verbale Hoeflichkeit im Deutschen unter Beruecksichtigung pragmatischer Aspekte (우리말의 대우법체계와 독일어의 공손한 표현에 대한 비교연구), 독어교육, 15,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1997, pp. 191-216
13. N.Chomsky의 최소주의 이론의 업적과 한계(II) - "주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人文論叢 제 28집, 제 28권,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1998, S.201-222
14. 독일어의 생략현상 연구(I) - 생략의 기본원리와 규칙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16,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1998, pp.127-147
15. 독일어의 생략현상 연구(II) -언어적 문맥에 의한 생략의 유형을 중심으로-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제3집, 1998, pp.284-313
16. 문장과 텍스트의 층위 - 문장과 텍스트의 완전성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6, 1999, pp. 229-254
17. Analyse der grammatischen Verbalperiphrase im Koreanischen und im Deutschen(한국어와 독일어의 문법구절 분석) , 독어교육 제 19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2000, pp.239-263
18. 텍스트 내에서의 언어기호의 기능 - '사용상의 의미' 발생을 중심으로 , 텍스트언어학 9, 2000, pp. 39-66
19. 현대독일어의 새로운 언어변화의 특징 - 문법화를 중심으로, 독일 어문학 제 14집, 9권 1호, 독일 어문학회, 2001, pp. 303-327
20. Typen aspektueller Verbalperiphrasen im Koreanischen und im Deutschen, 독어교육 제 21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2001, pp.231-254
21. 세가지 언어능력과 '지양', 텍스트언어학 제 13집, 2002, pp.407-434
22. Universalien der Sprache( langage ) und Universalien der Sprachwissenschaft - die Leistungen und Grenzen der Universalienforschung von N.Chomsky (언어의 보편성과 언어학의 보편성 - N. Chomsky의 언어유형 연구의 업적과 한계), 독일문학 제 86집(=제 10회 2002 설악 국제심포지움 발표논문),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pp. 39-56
23. 언 어지식의 층위 - 문화적인 언어 능력을 중심으로, 독어학 제 11집, 한국독어학회 2005, pp.235-260
24. Prinzipien der allgemein-sprachlichen Kompetenz (일반 언어적인 언어능력의 제 원리), 독어교육 제 24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2005, pp.169-192
25. 텍스트 기능연구 - 의사소통 모형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제 19집, 2005, pp. 319-343
26. Die allgemein-sprachliche Kompetenz (일반 언어적인 언어능력), 독일문학 제 98집(=제 13회 2005 설악 국제심포지움 발표논문), 한국독어독문학회, 2006, pp.81-98
27. 개념구조와 의미표상 - 독일어 불변화사 분리동사(Partikelverben)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제 39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7, pp.75-98
28. Bestandteile der Vebalperiphrase im Koreanischen und im Deutschen mit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ihrer kognitiven Prozesse, 2007, 독어학 제 16집, pp .262-285
29. 독일어의 불변화사 동사분석 - 언어유형학적인 범주를 중심으로, 독어교육 제 42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8, pp. 109-132
30. Analysis of Linguistic Expressions for motion events in English, German and Korean, the 18th Interanational Congress of Linguistics (= Unity and Diversity of Languages), Juli 26, 2008,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31. 독일어의 장소 전(후)치사의 의미와 통사구조, 독어교육 제 45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9, pp. 197-222
32. 독일어와 영어의 이동 도식과 장소 도식 - 개념화의 과정을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제 25집,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9, pp. 49-68
33.독일어의 주관적 이동표현과 은유의 이동 도식, 독어교육 제 48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0, pp. 97-120
34. 독일어와 영어의 공간 표현과 작용역 구조의 의미 - ‘지시적 의미’와 ‘개별 언어적 의미’의 의미구분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제 51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1, pp. 257-279
35. 독일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의 관계사의 의미 분석 - 영어의 over, 독일어의 über, 한국어의 (-의)위에, 중국어의 上方/ 上面을 중심으로, 독일문학 제 122집, 2012, pp. 125-147
36. 독일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의 은유적 이동의 양상, 독어교육 제 55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2, pp. 95-118
37. 독일어와 영어 환유의 대조 연구, 독어교육 제 56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3, pp. 233-257
38. 은유 및 환유의 언어보편성과 다양성 - ‘화’에 대한 개념적 은유를 중심으로 , 독어교육 제 58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3,pp. 75-105
39.은유 및 환유의 언어보편성과 다양성 - ‘눈’의은유및환유를중심으로 , 독어교육 제 59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4, pp.103-144
40. 독일어, 영어의 이동 동사 은유와 언어유형, 독어교육 제 61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4, pp. 7-43
41. 직시동사의 문법화 - 독일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의 '직시동사'를 중심으로, 독어교육 제 62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5, pp. 157-19 0
42. 신체개념의 환유적 확장 - 독일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의 신체부위 '심장'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제 66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6, pp. 33-55
43. 신체개념의 은유적 확장 - 독일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의 신체부위 '심장'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제 70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7, pp. 97-12 1
44. 신체개념의 은유적 확장 - 독일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의 신체부위 '손'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제 73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pp. 145-172
■ 주요저서
공간/이동의 개념과 언어화 - 인지언어학적인 분석, 한국문화사, 2015
■ 학회활동
1998.3.1.-1999.2.28.: 현대독어학회회장
1999.12.26.- 2002.2.28. 한국 텍스트언어학회 (회장)
2000.8.31.-2003.12.31: 한국독어학회 (편집위원장)
2005.12.10- 2007.12.22: 한국 훔볼트클럽 (감사)
2007.12.23.- 2010.1.10: 한국 훔볼트클럽 (이사)
2010.1.15.- 2013.2.28: 한국 훔볼트협회 (부회장)
2013.3.1.- 2016.12.16: 한국 훔볼트협회 (회장)
2014.12.13 - 2016.12.9: 독일 튀빙엔대학교 한국동문회 (회장)
■ 자기소개
전경재 교수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독일 뒤셀도르프대학교에서 독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전경재 교수는 독일어 문법, 독일어 어휘 연습, 독일어 작문, 독일어 텍스트의 이해, 독일어 조어론, 독일어 통사론, 독일어 정서법 등의 강의를 하고 있으며, 한국독어독문학회, 한국독일어교육학회, 한국독어학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등의 학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 학력
1985,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 학사
1987,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 석사
1992, 독일 뒤셀도르프대학교, 독어학 박사
■ 경력
1994-2023.02, 한양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 연구관심분야
독일어 통사론, 독일어 어휘론, 독일어 정서법, 독일어 교육, 독일어-한국어 비교연구, 독일어-영어 비교연구, 사전학, 언어 습득
■ 주요논문
“독일어정서법의 신규정”, 독일문학, 제61집, 1996.
“알파벳에 의한 독일어 사전에 있어서 표제어의 설정 및 배열”, 독일언어문학, 제10집, 1998.
“독일어에서의 줄표의 기능”,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제17집, 2005.
“독일어에서의 ph/f, gh/g,sh/sch 표기”, 독일문학, 제104집, 2007.
“한국인 독일어 학습자의 정관사 관련 오류”,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제23집, 2008.
■ 주요저서
‘독일어와 한국어의 문형 비교 연구’
‘구텐 모르겐’
‘독일어 정서법’ (역서)
‘엣센스 독한사전’ (공저)
‘도이치 문학 용어사전’ (공저)
■ 수상경력
우수교수상, 한양대학교, 1998.
베스트 티쳐, 한양대학교, 2004.
베스트 티쳐, 한양대학교, 2005.
베스트 티쳐, 한양대학교, 2006.
"마르키즈 후즈후 세계인명사전"에 등재, 미국, 2009.
"세계 톱 100 교육자"에 선정, 영국 IBC, 2010.
■ 학회활동
한국독일어교육학회: 창립위원, 1995.
한국독일어교육학회: 부회장, 2005-2006.
한국독일어교육학회: 편집위원장, 2007-2008.
한국독어독문학회: 편집출판 상임이사, 2006.
한국독어독문학회: 2006 아시아독어독문학자대회 논문집 간행위원장, 2007-2008.
■ 자기소개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한 탁선미교수는 동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독일학술교류처(DAAD)의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독일 프라이부르크 Freiburg 대학에서 독문학 (주전공), 철학, 언어학(부전공) 과정을 이수하고, ‘예술의 자율성’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 3월 한양대학교 임용 후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치고 있는 탁선미교수는 국내 및 독일, 일본, 호주에서 논문발표와 출판을 하였다. 원래 관심분야인 독일미학 및 문학이론, 20세기초 독일문학 및 18세기문화를 넘어서서 지난 10여년 젠더연구, 비교문화연구, 기억연구 등으로 연구 분야를 확대시키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연구프로젝트를 수차례 실행하였고, 대산문화재단의 번역지원대상자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한국독일어문학회 부회장과 한국독어독문학회의 국제상임이사 및 편집위원을 역임하였다. 2006서울동아시아 국제독어독문학자대회에서 프로그램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그 외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독문학분야 프로그램 매니저 및 번역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김희경재단의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 학력
1978.3.1-1982.2.20,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학사
1982.3.1-1984.2.20,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석사
1984.10.1-1992.7.20, Albert Ludwigs Universität Freiburg 독어독문학과 박사
■ 경력
1989.10.1-1990.9.30, 프라이부크대 동양학과 강사
1992.9.1-1995.2.28, 서울대, 경원대, 이화여대, 강원대 강사
1995.1.1- 현재, 한국독어독문학회 홍보이사, 국제상임이사, 편집위원 등
1995.3.1 -: 한양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임용
2006.1.1-2006.12.30, 김희경재단심사위원 위원
2007.1.1-2007.12.30, 한국학술진흥재단 PM위원
2007.1.1-2008.12.30, 한국독일어문학회 부회장
2008.1.1-2009.12.30, 한국학술진흥재단번역위원회위원 위원
■ 연구관심분야
독일미학, 현대독문학, 18세기 독일문화, 비교문화연구, 젠더연구, 문화이론
■ 주요논문
“포스트 트라우마 시대의 기억문화 - 그 쟁점과 함의 ”(2009)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2009)
“구성주의 젠더이론과 해체의 미학 ”(2007)
“에곤 에르빈 키쉬의 르포르타주문학 - 1920년대 독일 저널리즘논쟁을 중심으로”(2005)
“땅과 풍경 - 현실과 구성 사이”(2004, 독일)
■ 주요저서
*한국독어독문학 50년: 1958-2008 (공저, 2009)
*문학, 그 사이의 존재 (공저, 2003)
*서독문학이론 논쟁에서 ‘예술의 자율성’ 문제 (1994, 독일)
■ 학회활동
1995.1.1-현재, 한국독어독문학회 홍보이사, 국제상임이사, 편집위원 등
2006.1.1-2006.12.30, 김희경재단심사위원 위원
2007.1.1-2007.12.30, 한국학술진흥재단 PM위원
2007.1.1-2008.12.30, 한국독일어문학회 부회장
2008.1.1.-2009.12.30, 한국학술진흥재단번역위원회위원 위원
■ 소개
현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1993), 동 대학원에서 석사(1996)를 취득하였다. 도쿄대학 문학부에서 중국현대사 전공으로 박사학위(2001)를 받았다. 이후 중국 화중사범대학 중국근대사연구소에서 강의하였고(2001-2002),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2002-2004),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조교수, 부교수(2004-2012)를 거쳐 2012년 9월부터 한양대에서 중국근현대사와 경제사를 강의하고 있다. LG연암재단 해외파견교수로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에서 1년간 연구하였으며(2010), 하버드 옌칭 연구소 방문교수로 선발되어 동 연구소에서 1년간 학술 연구를 진행하였다(2018-2019).
세계대공황 시기의 중국 경제와 중앙-지방 관계에서 출발하여, 관세 및 화폐 연구, 동아시아 비교 경제사, 화교 경제와 디아스포라 연구, 동아시아 제당업 등 연관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5권의 단독 저서를 비롯한 41권의 저역서, 53편의 학술 논문을 한국, 일본, 중국 및 영어권에서 출간하였다. 여러 학술기관에서 임원으로 활동하였고, 현재는 중국근현대사학회, 역사학회, 대구사학회 이사로 역임하고 있다(2022년 기준).
■ 학력
1993, 서울대학교 문학학사
1996, 서울대학교 문학석사
2001, 도쿄대학교 문학박사
■ 경력
2001-2002, 화중사범대학 중국근대사연구소 초빙교수
2002-2004,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2004-2012,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조교수, 부교수
2012-현재, 한양대학교 교수
■ 연구관심분야
중국현대사, 비교경제사, 화교사
■ 주요논문
「근대 동아시아 설탕 시장과 홍콩 제당업 ―상인 디아스포라는 지속 가능한가? 」『역사비평』130, 2020
「G2시대의 중국 사회주의―역사적 관점에서 본 중국의 개혁개방」『역사비평』106, 2014.
「제국주의시대와 동아시아의 경제적 근대화 -식민지근대화론의 재고와 전망」『역사학보』194, 2007.
「16-19세기 중국경제와 세계체제-“19세기 분기론”과 “중국중심론”」『이화사학연구』31, 2004.
「1930年代中國における徴稅請負制度の改革と國家」『歷史學硏究』771, 2003.
「1930年代廣東陳濟棠政權の製糖業建設」『近きに在りて』30, 1996.
「近代東亞跨國資本的成長與局限-以在韓華僑企業同順泰爲例」『文史哲』260, 2005.
"Chinese Merchants in Japan and Korea." In the Oxford Encyclopedia of Asian
Commercial History. Ed. David Ludde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Cantonese Networks in East Asia and the Chinese Firm Tongshuntai in Korea", Asian Research Trends New Series 12(Toyo Bunko, Tokyo, 2018)
■ 주요저서
The Guangdong Model and Taxation in China: Formation,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China's Modern Financial System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22)(저서)
Strenuous Decades: Global Challenges and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ies in Modern Asia (Berlin, Boston: De Gruyter Mouton, 2022)(공저)
『東亞華僑資本和近代朝鮮:廣幫巨商同順泰號研究 』(廣東人民出版社, 廣州, 2018)(저서)
『이주와 유통으로 본 근대동아시아경제사 』(고려대학교아연출판부, 2018)(저서)
『동순태호-동아시아 화교 자본과 근대 조선 』(경북대학교출판부, 2011)(저서)
『문명제국에서 국민국가로 』(창비, 2009)(저서)
『1930년대 중국의 중앙, 지방, 상인』(서울대학교출판부, 2005)(저서)
『중국 개혁-개방의 정치경제』(까치, 2002)(공저)
『중국근현대사의 재조명』(지식산업사, 1999)(공저)
『1930年代的中國』(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6)(공저)
『近代中國-經濟與社會硏究』(復旦大學出版社, 2006)(공저)
『世界經濟體制下的民國時期經制』中國財政經濟出版社 2005)(공저)
『중국경제사』(경북대학교출판부, 2016)(역서)
『베이징의 애덤 스미스』(길, 2009)(역서)
『미완의 기획, 조선의 독립』(소와당, 2009)(역서)
■ 교내활동
2019-2021,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부학장
■ 소개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1996), 동 대학원에서 석사(1999), 독일 빌레펠트 대학교에서 독일현대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선임연구원(2006~2007), 경희대 인문학 연구원 연구교수(2008-2010)를 거쳐, UNIST 기초과정부 조교수(2010-2015)로 근무하였다. 2015년부터 한양대학교에서 서양사를 강의하고 있다. 한독관계사, 독일여성사, 정당사, 주택정책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 학력
2005, 독일 빌레펠트 대학교 문학박사
1999,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석사
1996,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졸업
■ 경력
2005~2009 고려대, 국민대, 서울대, 연세대 강사
2006~2007, 서울대 역사연구소 선임연구원
2008-2010, 경희대 인문학 연구원 연구교수
2010-2015, UNIST 기초과정부 조교수
2015-현재, 한양대학교 교수
■ 연구관심분야
한독관계사, 독일여성사, 정당사, 주택정책
■ 주요 저술
『바이마르 주거난 해소를 위한 모색들』(서양사론, 2021)
『나치 이후 개인의 자리)』(독일연구, 2020)
『국가와 폭력』(역사비평, 2020)
『Creating legitimacy through media discourse』(Acta Koreana, 2019)
■ 학회활동
역사학회, 한국독일사학회, 한국서양사학회, 부산대 효원사학회 이사, 도시사학회 감사
사학과장 / 비교역사문화연구소장 / 한국 법사학 연구센터장 / 호모 저스티스, 공정과 상생을 위한 역사교육연구팀장
■ 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에 재직 중이며, 한양대학교 인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1993), 동 대학원에서 석사(1999), 박사학위(2003)를 받았다. 2002년도에는 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을 수료하고 ‘기록물관리전문가’ 자격을 취득하였다. 이후 한국국가기록연구원(2004~2005), 국회기록보존소(2005~2009),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2011~2014)를 거쳐서 강릉원주대 사학과 교수(2014~2021)로 재직하였다. 한양대에서는 2021년 9월 1일부터 한국근대사, 한국사회경제사, 일제 강점기 지배정책사 및 독립운동사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근대 한국의 법, 재판 그리고 정의> <국역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1~15)> <기록의 역사-한국의 국가기록관리와 아카이브즈> <조선총독부 법제정책-일제 식민통치와 조선민사령> <조선총독부 공문서-일제시기 기록관리와 식민지배(공저)>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적 근대(공저)> 등이 있으며, 국내 학술지에 법, 관습법, 민사재판, 식민정책, 기록관리제도 등에 관하여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현재 한국사연구회, 역사교육연구회, 한국법사학회, 한국기록학회 등에서 연구이사 및 편집이사로 활동 중이다.
■ 학력
2003, 한양대학교 문학박사
1999, 한양대학교 문학석사
1993, 한양대학교 문학박사
■ 경력
2004-2005,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책임연구원
2005-2009, 국회기록보존소 기록연구사
2011-2014,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전임연구원
2014-2021, 강릉원주대학교 조교수, 부교수
2021-현재, 한양대학교 교수
■ 연구관심분야
한국 근대 법제사(법, 재판, 관습, 정의 등), 일제지배정책사, 한국근대사회사, 한국의 기록관리제도 및 역사
■ 주요논저
『근대 한국의 법, 재판 그리고 정의』(경인문화사, 2021)
『국역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1~15)』(민속원, 2021)(역서)(공저)
『기록의 역사-한국의 국가기록관리와 아카이브즈』(혜안, 2011)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적 근대』(동북아역사재단, 2009)(공저)
『조선총독부 법제정책-일제 식민통치와 조선민사령』(역사비평사, 2008)
『조선총독부 공문서-일제시기 기록관리와 식민지배』(역사비평사, 2007)(공저)
『식민지 유산, 국가형성, 한국 민주주의』(책세상, 2012)(공저)
■ 학회활동
한국사연구회 연구이사, 한국법사학회 연구이사, 역사교육연구회 편집이사, 한국기록학회 편집이사, 한국역사연구회 연구회원
■ 소개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2007)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2010)와 박사(2017)를 취득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를 지냈고, 2019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태학사 과정 장학생으로 선발되었다. 2022년 9월 한양대학교 조교수로 임용되었고,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한국 중세의 사회경제, 재정, 세금, 국가제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학력
1999-2007, 고려대학교 문학사
2007-2010, 고려대학교 문학석사
2010-2017, 고려대학교 문학박사
■ 경력
201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원
2018-201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2019-2022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과정 장학생
2022- 현재 한양대학교 조교수
■ 연구관심분야
조선시대 사회경제사, 재정사, 국가제도
■ 주요논문
「사회경제사로 윤색된 뉴라이트 ‘유교망국론’ - 이영훈,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의 노비제론 비판」, 『역사비평』 136, 2021
「세종대 공법(貢法) 도입의 재정적 맥락 - 원인, 결과, 영향 -」 , 『역사와 현실』 118, 2020
「여말선초 전제개혁의 역사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 ‘사전개혁’ 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 , 『韓國史硏究』 190, 2020
「조선 태종대 저화 발행 배경에 대한 재검토 - ‘화폐정책’이 아닌 ‘재정정책’의 맥락에서」 , 『역사와 담론』 92, 2019
「고려 말 조선 초 재정 구조의 연속성과 공납제 운영」, 『역사비평』 120, 2017
■ 주요저서
『조선 전기의 국가 의례와 의주』, 민속원, 2015 (공저)
『고려에서 조선으로 여말선초, 단절인가 계승인가』, 역사비평사, 2019 (공저)
■ 소개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서양사 이중전공)를 졸업한 김승우 교수는 동 대학원에서 서양사(미국 금융사)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 역사학부에서 20세기 국제금융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Ellen McArthur 경제사 장학생). 스위스국립연구재단(Swiss National Scientific Foundation)의 지원을 받아 제네바 국제연구대학원(Geneva Graduate Institute)에서 연구원으로 영국계 국제은행과 남한과 북한을 포함한 남반부 권위주의 정권 간의 관계를 연구했다. 또한 포니정 재단의 신진연구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2023년에는 스웨덴 웁살라 대학교(Uppsala University) 경제사학과(Department of Economic History)에서 Browaldh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남반부와 선진국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상상했던 대안적 전후 국제통화체제를 연구했다. 2024년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거쳐 2025년 3월부터 한양대학교 사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문화사와 금융의 사회적 연구(social studies of finance) 등의 방법론을 통해 정치와 문화라는 비경제적 요소들과 담론들의 권력관계 속에서 금융이 구성되는 역사적 과정을 연구하여 금융의 재사회화 및 재정치화를 시도하고 있다. 더불어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해 금융의 지구사,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가 함의하고 있는 신자유주의와 금융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최근에는 역사를 통한 금융지성(financial literacy) 교육을 통해 공공역사 실천을 추진 중이다.
■ 학력
2001-2008 고려대학교 철학과(서양사 이중전공) 학사
2008-2012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석사
2013-2018 케임브리지 대학교 역사학 박사(PhD in History)
■ 경력
2015-2018 케임브리지 대학교 금융사 연구소 연구생
2019-2023, 스위스 제네바 국제연구대학원 연구원
2021-2021, 스위스 St. Gallen 대학교 강사
2021-2021, 포니정 재단 신진연구자
2023-2024, 웁살라 대학교 경제사학과 Browaldh Postdoc
2024-2025, 경북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2025- 현재, 한양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 연구관심분야
20세기 국제금융사, 국제통화체제, 국제금융기구, 중앙은행의 역사, 자본주의 역사, 현대 금융/투자 이론의 역사적 발전, 신자유주의의 역사, 남북한의 국제금융사, 공공역사 등
■ 주요 논문
'Exclusionary Regimes, Financial Corporations, and Human Rights Activism in the UK, 1973-92' International History Review, Vol. 45, Issue 5 (2023), pp. 787-806. (공저자 C. E. Altamura)
'A brief encounter - North Korea in the Eurocurrency market, 1973-1980', Vol. 23, Issue 3 (2023), pp. 411-429.
「인플레이션과 F.A. 하이에크 그리고 암호화폐의 신자유주의적 기원」, 『역사와 세계』, 제66호 (2024), 63-100쪽.
「시장을 이길 수 있는가?―20세기 주식시장 읽기와 투자 기법들의 역사」,『역사비평』, 제138호 (2021), 8-35쪽.
「미국 신자유주의의 역사 만들기 – 시카고학파와 ‘램지어 사태’의 과거와 현재」,『역사비평』, 제137호 (2021), 237-268쪽.
■ 역서
Quinn Slobodian, 『크랙업 캐피털리즘 – 민주주의 없는 자본주의Crack-up capitalism: Market radicals and the dream of a world without democracy』 (고양: 북21, 2024).
■ 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사학과에서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2007),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2011). 이후 미국 인디애나대학교(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중앙유라시아학과(Department of Central Eurasian Studies)에서 석사(MA, 2013)와 박사학위(PhD, 2021)를 받았다. 박사 논문 작성에 필요한 사료를 수집하기 위해 중국·몽골·러시아·영국 등지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하였고(2016-2018), 그동안 몽골국립대학교와 중국 북경대학교 등에 방문학자로 있었다.
박사학위를 취득한 2021년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 몽골학·내륙아시아학 연구소(Mongolia and Inner Asia Studies Unit)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한 뒤, 서울대학교와 동국대학교(경주)에서 강의했고,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일했다. 이후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2021-2025)을 거쳐, 2025년 3월부터 한양대학교 사학과에서 중국과 중앙유라시아(Central Eurasia)의 전근대사를 가르치고 있다.
몽골 제국, 준가르(Zunghar) 제국, 대청(大淸) 제국을 중심으로 중국(China Proper)과 중앙유라시아 지역 간의 다면적인 상호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중국-중앙유라시아의 국제무역 네트워크, 양 지역 간 외교관계와 상호인식, 동아시아 및 중앙유라시아 지역에서 정치권력과 국가(state)의 형성 원리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구에 기반하여 궁극적으로는 ‘중국 중심주의(Sinocentrism)’를 극복하고 동아시아의 다원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역사 연구와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 학력
2007 문학사, 서울대학교
2011 문학석사, 서울대학교
2013 MA,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2021 PhD,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 경력
2016-2017 - 방문학자, 몽골국립대학교 몽골학 연구소
2017 - 방문학자, 북경대학교 사학과
2021 - Visiting Scholar, Mongolia and Inner Asia Studies Unit, University of Cambridge
2021 - 강사, 서울대학교 & 동국대학교(경주)
2021 - 학술연구교수,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2021-2025 - 연구위원, 동북아역사재단
2025-현재 - 조교수, 한양대학교 사학과
■ 연구관심분야
Transnational History of East Asia and Central Eurasia, Late Imperial China, Early Modern Empire
■ 주요 논문
「오이라드의 역사에 대한 중국과 몽골의 인식 차이: 또 다른 역사 갈등의 발생 가능성에 주목하여」, 『동북아역사논총』 84 (2024).
「몽골 帝國 초기 行省 제도 재고찰」, 『중앙아시아연구』 27 (2022).
「17~18세기 두르부드의 盛衰와 중앙아시아초원의 통치체제 변동」, 『역사학보』 250 (2021).
“The Zunghar Conquest of Central Tibet and Its Influence on Tibetan Military Institutions in the 18th Century,” Revue d’Etudes Tibétaines 53 (2020).
“Oyirad Terms for the Manchus,” Saksaha: A Journal of Manchu Studies 15 (2019).
“The Postal Roads of the Great Khans in Central Asia under the Mongol-Yuan Empire,” Journal of Song-Yuan Studies 44 (2016).
■ 주요 저서
『관용적인 정복자 대원제국』 (동북아역사재단, 2023) (공저).
The Mongol World, edited by Timothy May and Michael Hope (Routledge, 2022) (공저).
■ 소개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사학과의 교수로 재직 중인 이석규 교수는 한양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 중세사에서 민(民)이 성장하는 구체적인 모습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民’에서 ‘民族’으로』(2006)가 있고, 「麗末鮮初 新興儒臣의 民에 대한 인식」(2004)을 비롯한 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 학력
1982, 한양대학교 문학사
1985, 한양대학교 문학석사
1995, 한양대학교 문학박사
■ 경력
1997-2020,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2009-2011, 한양대학교 박물관장
■ 연구관심분야
한국 중세사에서 민의 성장 과정
■ 주요논문
「朝鮮 初期 官人層의 民에 대한 認識」, 역사학보 151, 1996.
「조선 초기 應旨上疏를 통해 본 成宗代의 변화」, 조선시대사학보 41, 2007.
「조선 明宗代의 求言과 民本理念의 변질」, 조선시대사학보 51, 2009.
「樗軒 李石亨의 생애와 경세사상」, 사학연구 100, 2010.
「16세기 조선의 민본이념과 民의 성장」, 한국사상사학 39, 2011.
「조선 전기 三年喪制의 확립과 民의 성장」, 한국사연구 161, 2013.
■ 주요저서
『한국의 역사와문화』(공저), 한양대학교출판부, 2002.
『‘民’에서 ‘民族’으로』(공저), 선인, 2006.
■ 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에 재직 중이며, 서울대학교 인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1979), 동 대학원에서 석사(1984), 박사학위(1990)를 받았다.
한양대 교수로 부임하기 전에는 목포대학교, 충남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94년에는 미국 하버드 대학 한국학연구소에 Visiting scholar로서 1년간 다녀오기도 했다.
한국근현대사를 전공하였으며, 특히 사상사, 사회사, 독립운동사에 관해 집중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양대에서는 한국근대사, 한국사회경제사, 한국독립운동사, 한국사학사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민족주의의 시대> <근대이행기 민중운동의 사회사> <언론운동>(한국독립운동의 역사) <한국근현대사를 읽는다> <민족/민족주의>(한국개념사총서시리즈)등이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에 약 100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역사학 관련 학회로서 역사문화학회, 한국사회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사연구회, 역사학회, 한국근현대사학회, 역사문화학회, 한국사회사학회 등에서 이사로 활동 중이다. 기록학 관련 학회로서 한국기록학회 이사,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상임연구위원으로서도 활동 중이다.
한양대 내에서는 한국학연구소(현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대학기록실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 학력
1979, 서울대학교 문학박사
1984, 서울대학교 문학석사
1990, 서울대학교 문학박사
■ 경력
1990-2001, 목포대학교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2001-2004, 충남대학교 부교수
2005-2021, 한양대학교 부교수, 교수
■ 연구관심분야
한국민족주의, 한국독립운동사, 일제지배정책사, 한국근대사회사, 한국근대 사학사, 한국근대언론사
■ 주요논저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역사비평사, 1992)
『한국사연구 50년』(혜안, 2005)(공저)
『민족주의의 시대-일제 하의 한국민족주의』(경인문화사, 2007)
『근대이행기 민중운동의 사회사』(경인문화사, 2008)
『민족·민족주의』(소화, 2010)
『마을로 간 한국전쟁』(돌베개, 2010)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돌베개, 2013)
『한국독립운동사』(역사비평사, 2014)
■ 학회활동
역사문화학회 회장(2004.1-2005.12)
한국사회사학회 회장 (2006.1- 2007.12)
한국사학사학회 부회장, 한국사연구회 이사,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상임연구위원, 기록학회 총무이사, 역사학회 편집위원, Korea Journal 편집위원 등
■ 교내활동
2008-2009,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소장
2008-2011, 한양대학교 대학기록실 실장
2015-현재,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소장
■ 소개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사학과의 교수로 재직 중인 신성곤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중국중세사 전공으로 1995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부터 2001년까지 경상대학교 교수를 거쳐 2001년부터 본교에 재직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세계의 역사’ 등이 있고, ‘신중국사’, ‘열린 제국’을 번역하기도 하였다. 또한 ‘동양사학연구’, ‘국제중국학보’, ‘중국고중세사연구’ 등의 국내외 학술지에 30여 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현재 중국고중세사학회, 역사교육연구회, 동아시아문화연구 등 잡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학력
1984, 서울대학교, 문학학사
1987, 서울대학교, 문학석사
1995, 서울대학교, 문학박사
■ 경력
1995-2001, 경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조교수
1999, 중국 청도대학 교환교수
2001-2003,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조교수
2003-2008,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부교수
2008-2021, 한양대학교 인문대학교 교수
■ 연구관심분야
동아시아에서의 인구이동, 동아시아에서의 역사교육, 출토자료로 본 고대사, 중국 고중세의 신분질서, 전통시대 한중관계사
■ 주요논문
"간독자료로 본 중국 고대의 노비", 한국고대사연구 54, 2009
"위진남북조시대의 인구 이동과 지역적 분포", 동양사학연구 103, 2008
"魏周革命(577)與北周的覇府", 국제중국학연구 10, 2007
■ 주요저서
『위진수당사연구(1)』(사상사, 1994)(공저)
『분열과 통합』(서울대학교 동양사학연구실, 1998)
『중국, 중국사』(경상대학교 출판부, 1998)(공저)
『구품관인법의 연구』(까치, 2002)(공역)
『중국의 부곡, 잊혀진 역사, 사라진 인간』(책세상, 2005)
『열린제국 : 중국 고대―1600』(까치, 2005)(역서)
『중국에 통일제국이 서다』(웅진씽크빅, 2006)
『동아시아의 문화표상 1』(민속원, 2015)(공저)
■ 학회활동
동양사학회 정보이사
역사교육연구회 편집이사
중국고중세사학회 편집이사
■ 소개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영국 웨일즈 대학에서 <영원한 오이디푸스의 순례-콜링우드 역사철학의 변화와 지속>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서양사상사, 사학사, 역사이론의 영역이다.
논문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은 역사학의 종말인가>,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가: 사실과 허구의 틈새에 선 ‘절름발이’>, <버츄얼 리얼리티: 뉴 밀레니엄의 패러다임>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는 <역사, 위험한 거울>,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이렇게 될 줄을 알면서도’의 능동적 니힐리즘이야말로 인간학의 토대라는 신념하에, 역사학은 ‘인간에 의한, 인간에 대한, 그리고 인간을 위한 학문’임을 입증하고자 노력 중이다. 현재의 주된 관심사는 포스트모더니즘, 카운터 컬처, 그리고 소비 자본주의이다. 이에 대한 연구야말로 우리시대의 패러다임을 드러내는 초석이라 확신하기 때문이다.
■ 학력
1983, 한양대학교 문학학사
1987, 한양대학교 문학석사
1992, 웨일즈대학교 문학박사
■ 경력
2001-2004,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조교수
2004-2009,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부교수
2009-현재,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교수
■ 연구관심분야
서양사상사, 사학사, 역사이론, 포스트모더니즘, 카운터 컬처, 소비 자본주의
■ 주요논문
“포스트모더니즘은 역사학의 종말인가”, 역사비평 46, 1999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가: 사실과 허구의 틈새에 선 ‘절름발이’” 역사와문화 1, 2000
“역사과잉시대의 “역사학” 찾기-콜린우드의 역사등급론 탐구”, 서양사론 100, 2009
■ 주요저서
<역사, 위험한 거울>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란 무엇인가>
■ 학회활동
문화사학회 회장
■ 자기소개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과 동대학원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철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그 후 런던대학교(LSE)에서 응집물질물리학이 복잡한 거시현상을 모형화하는 방식에 대한 철학적 분석으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이 박사학위 논문으로 2002년 로버트 맥켄지 논문상을 수상했다. 2000년 가을학기부터 런던정격대학 철학과에서 가르치다 2002년에 한양대학교에 부임하였고 현재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학기술철학과 과학기술학의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엔나 모임, 유전자 결정론, 과학지식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철학적 분석, 연구윤리를 비롯한 과학의 윤리적 쟁점에 특히 흥미를 갖고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현재 한양대학교의 거의 모든 단과대학에서 기초필수 교양과목으로 채택하고 있는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의 교과내용을 개발하고 관련 교과서를 다른 학자들과 함께 저술했으며, <과학으로 생각한다, 2007>, <실험실 생활 길잡이, 2007>, <욕망하는 테크놀로지, 2009> 등 다수의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학 관련 학술서적을 공저로 출판했다.
현재 연구윤리정보센터 운영위원과 한양대학교 기관윤리심의위원회 우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토마스 쿤의 과학철학과 과학기술의 윤리적 쟁점에 대한 저서를 준비 중이다.
■ 학력
1991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학사
1994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원 물리학과 석사 (전공: 응집물질 물리학)
1996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박사과정 수료 (전공: 과학철학)
2001 런던대학교(LSE) 철학과 박사
■ 경력
2000-2001 런던정경대학 철학과 객원조교수
2008-2009 하버드-엔칭 연구소 방문학자
2002-현재 한양대학교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
■ 연구관심분야
과학철학(특히 물리학의 철학, 생물학의 철학), 기술철학, 과학기술학, 과학기술과 윤리(연구윤리 포함)
■ 주요논문
「비트겐슈타인과 비엔나 모임: 과학철학적 접점」, 『과학철학』12권 2호, 2009
「인공지능의 한계와 일반화된 지능의 가능성」, 『과학철학』12권 1호, 2009
「현장성과 지향성: 현대 기술철학을 읽는 한 방식」, 『철학과현실』통권 83, 2009 봄호
■ 주요저서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제5판, 한양대학교출판부 2010 (공저)
『욕망하는 테크놀로지』동아시아 2009 (공저)
『필로테크놀로지를 말한다』해나무 2008 (공저)
『철학으로 과학하라』웅진지식하우스 2008 (공저)
■ 수상경력
- 라카토슈 장학금, 런던정경대학 철학과, 1996, 1997
- 로버트 맥켄지 논문상, 런던정경대학, 2002
- 우수강의계획서상, 한양대학교 2002, 2004
- 우수강의교수상, 한양대학교 2007
■ 학회활동
- 한국과학철학회 정회원, 편집위원, 연구이사
- 한국과학기술학회 정회원, 편집위원
- 한국분석철학회, 철학연구회, 한국과학사학회 정회원
■ 기타
농촌진흥청 미래전략기획 자문위원, 한양대학교 기관윤리심의위원회(IRB) 위원, 연구윤리 정보센터 운영위원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김용헌 교수는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혜강 최한기`(편저), `조선유학의 학파들`(공저), `실학의 철학`(공저) 등 다수가 있으며, `동양철학연구`, `동양상사학`, `퇴계학보` 등 국내 학술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 학력
1985, 고려대학교 문학사
1987, 고려대학교 문학석사
1995, 고려대학교 철학박사
■ 경력
1997.3-2001.8 국립안동대학교, 국학부 전임강사/조교수
2001.9-현재, 한양대학교 철학과 조교수/부교수/교수
■ 연구관심분야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사상
■ 주요논문
“조선후기 실학적 자연관의 몇 가지 경향”, `한국사상사학` 23, 2004.
“퇴계학파의 여헌 장현광 비판에 관한 연구”, `퇴계학보` 123, 2008.
■ 주요저서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김태용 교수는 한양대학교 철학과와 동대학원 및 타이완대학교 철학연구소를 졸업하고 베이징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杜光庭「道德眞經廣聖義」的道敎哲學硏究』, 『현대신유학과 중국특색의 사회주의』(공저), 『인간 본성에 관한 철학이야기』(공저),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공저)등이 있으며, 『동양철학』, 『도교문화연구』, 『한국철학논집』, 『중국학보』, 『동아시아문화연구』, 『중국학연구』등에 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한국철학사연구회 학술이사, 한국중국현대철학연구회 총무이사, 한국중국학회 철학부 총무이사를 역임하고 현재 한국철학사연구회와 동아시아문화연구소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학력
1992, 한양대학교, 문학사
1997, 한양대학교, 문학석사
1999, 타이완대학교, 문학석사
2005, 베이징대학교, 철학박사
■ 경력
2007-2008,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수 전임연구원
2009-2013, 한양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2014-현재, 한양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 연구관심분야
선진유가, 선진도가, 중국도교, 중국현대철학
■ 주요논문
“도교의 생명윤리”, 도교문화연구23, 2008.
“도교의 ‘신국동치’적 정치사상”, 동양철학29, 2008.
“중국 신자유주의의 ‘전통’에 대한 이해-천도자유주의를 중심으로”, 중국학보60, 2009.
“도교의 생명주체환경윤리”, 한국철학논집28, 2010.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종교이론에 대한 고찰", 중국학보63, 2011.
■ 주요저서
‘杜光庭「道德眞經廣聖義」的道敎哲學硏究’
‘현대신유학과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 학회활동
한국 중국현대철학연구회: 총무이사, 2008-2010
한국 철학사연구회: 편집위원, 2009-현재.
한국 중국학회: 철학부 총무이사, 2010-2012.
한국 동아시아문화연구소: 편집위원, 2013-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