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과

☎ 02-2297-0730

개요

국어국문학은 모든 학문의 기초가 되는 모국어 및 문학교육을 통하여 국학 전반에 참여할 수 있는 자질을 배양시켜 민족문화 창조에 공헌할 인재양성에 그 목표를 둔다. 본 학과의 전공은 고전과 현대로 구분되는 문학 분야와 국어학분야로 양분된다. 4년간에 걸쳐 전 분야에 대한 교육은 물론, 학생취향에 맞는 개별 전공분야 교육에도 세심한 배려를 하고 있다. 전문분야의 연구 활동은 물론 많은 문사의 배출, 교직 또는 언론계로의 진출에서 보이는 졸업생 현황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더 부언하면 현대와 같은 조직사회에서 가장 소중시되는 기획업계에도 본 과 출신이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인문과학이 갖는 폭넓은 학문과 그 교육방법의 성과라 할 수 있다.

목적

국어국문학과의 교육은 한국어와 한국문학의 여러 분야를 폭넓고 깊이 있게 연구하고 변화하는 시대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여 사회 여러 분야에서 실현하고 나아가 사랑의 실천자로서 나라와 인류의 번영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목표

바른 삶의 자세와 봉사, 희생의 정신을 지닌,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교양인을 육성한다.

국어국문학 각 분야에서 배우고 익힌 전문지식을 언론, 문화, 예술, 교육 등 각 분야에 실천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실용적 전문인을 육성한다.

변화하는 세계에 대응하는 국제 감각, 폭넓은 안목·경륜으로 우리 문화의 토양을 살찌우는 세계 시민적 문화인을 육성한다.

졸업 후 진로

● 한국인의 삶의 요람, 국어국문학과
한국인의 삶은 한국어와 한글을 떠나서는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한국인은 한국어와 한글을 바르고 아름답게 사용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는 바로 이러한 한국어와 한글 그리고 그 정신이 담긴 문학을 체계적으로 교육하여 한국인으로서 능력을 다양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과이다.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는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으로 세부 전공이 나뉜다. 국어학은 크게 음운론, 문법론, 의미론의 세부 분야로 나뉘어 공부하고, 이 밖에도 어휘론, 화용론, 한국어교육론, 한국어정보처리론 등 빅데이터나 정보 통신과 관련된 첨단적인 강좌도 개설되어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분야에서는 문학일반론과 함께 시, 소설, 희곡, 비평의 이론과 작품을 배우고, 고전문학사와 현대문학사를 넘어 동아시아문학과 세계문학의 흐름까지 공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밖에도 중등학교 국어교사의 양성을 위한 교직과정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 선발되지 못하였으나 교사자격증을 따고자 하는 사람은 졸업 후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과정에 입학하여 중등학교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도 있다. 또한 교육대학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전공 과정을 통해서도 한국어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바로 외국인 대상 교육 현장에서 교수의 길을 걸을 수도 있다.

1) 취업
학생들은 졸업 후 취업을 하거나 대학원에 진학한다. 취업하는 경우 종래에는 신문 방송 등 언론계(아나운서, 기자, 프로듀서, 방송작가)나 교육계(중고등학교 교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원), 국립국어원이나 한글박물관, 고전번역원 등 국책기관의 연구원, 문학계(소설가, 시인, 비평가), 출판계(편집인), 광고계(카피라이터), 금융계(은행, 증권회사) 기타 기업의 사무직 등의 분야에 진출하였는데, 요즈음에는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등 정보통신 분야에도 많이 진출하여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2) 진학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에는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앞에서 소개한 취업의 길로 가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박사 과정에 진학한다. 박사 학위를 취득한 동문들은 활발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전국의 각 대학에서 교편을 잡거나 국어국문학 관련 연구소들에서 연구 활동을 한다.

● 인간에 대한 이해심을 키우는 국어국문학과
지금까지 크게 두 갈래로 나누어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의 진로에 대해서 소개했다. 어떤 분야에서든 국어국문학의 수련과 국어국문학과 생활을 통해 살찌운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사랑의 마음, 상상과 창조와 꿈의 힘, 그리고 정의감으로써 21세기를 받치고 이끌어 갈 것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어떤 직업을 가졌느냐가 아니라 국어국문학을 공부한 인재가 우리 사회의 정의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는 학생들의 인생 여정과 한국인의 밝은 미래를 위해 정말 필요한 배낭을 짊어지게 도울 것이다. 이제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는 학생들에게 가벼운 것 같지만 약간은 무거운 그 배낭을 짊어질 용기를 갖고 있는지 묻는다.

Photo

이승수

교수

국어국문학과
국어국문학과장
동아시아문화연구소장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인 이승수는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저역서로 ‘三淵 金昌翕 硏究’, ‘역주 정유각집’, ‘문학이 태어나는 자리’ 등이 있다. 한국고전문학연구, 고소설연구, 한국한문학연구 등의 학술지에 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 학력
1990년 한양대학교 문학사
1992년 한양대학교 문학석사
1998년 한양대학교 문학박사 

■ 경력
2005~2007년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연구조교수
2008~2010년 경희대학교 혜정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2010년~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교수

■ 연구관심분야
고전서사학, 문학의 역사성, 인문지리학, 동아시아의 문명교류, 도적소설, 연행록과 연행로, 설화의 역사성과 문학성

■ 주요논문
淵蓋蘇文 서사의 형성과 전승 경로, 동아시아문화연구 47집, 2010
黑旋風 李逵의 인물 형상과 서사 기능, 고소설연구 29, 2010
燕行路의 文明路的 위상 검토, 그 의의와 한계, 한국언어문화연구 41, 2010
고려말 對明 使行의 遼東半島 경로 고찰, 한문학보 20, 2009
朴文秀 전승의 역사적 기반 탐색, 한국문화 42, 2008

■ 주요저서
조선의 지식인들과 함께 문명의 연행길을 가다(공저), 푸른역사, 2005
거문고 줄 꽂아놓고, 돌베개, 2006
문학이 태어나는 자리, 산처럼, 2009
고구려의 등장과 그 주변(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9
동행의 역사와 형상(공저),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 2009
역주 정유각집(공역), 돌베개, 2010

■ 학회활동
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고전문학회, 한국고소설학회, 한국한문학회 

 
Photo

정민

교수

국어국문학과
교양국어교육주임

■ 자기소개 
한양대 국문과 졸업, 동 대학원 석박사 수료. 한국한문학전공. 『조선후기 고문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저서에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초월의 상상』, 『목릉문단과 석주 권필』, 『고전문장론과 연암 박지원』, 『한시미학산책』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정유각집』3책(공역), 『석주집』, 『기봉집』,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생각창고』(공역) 등이 있다. 한문학의 대중화에도 힘을 쏟아 『한시 속의 새, 그림 속의 새』(2책), 『다산선생지식경영법』, 『미쳐야 미친다』, 『죽비소리』외에 여러 책을 펴냈다. 학회 활동으로는 한국18세기학회 회장(2007-2009), 한국언어문화학회 부회장, 한국도교문화학회 부회장, 한국한문학회 연구이사 등을 역임하거나 맡고 있다. 한국문학의 역사, 고전명문감상 등의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 학력
한양대 국문과 졸업, 동 대학원 석박사 수료. 한국한문학전공.

■ 연구관심분야
고전문학, 고한국한문학, 실학사

■ 주요논문
石洲 權필의 詩世界 硏究, 朝鮮 後期 古文論 硏究, 고전문장이론에서 `法`의 문제에 대하여 외 다수 

■ 주요저서
연구 저서에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초월의 상상』, 『목릉문단과 석주 권필』, 『고전문장론과 연암 박지원』, 『한시미학산책』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정유각집』3책(공역), 『석주집』, 『기봉집』,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생각창고』(공역) 등이 있다. 한문학의 대중화에도 힘을 쏟아 『한시 속의 새, 그림 속의 새』(2책), 『다산선생지식경영법』, 『미쳐야 미친다』, 『죽비소리』외에 여러 책을 펴냈다. 

■ 학회활동
학회 활동으로는 한국18세기학회 회장(2007-2009), 한국언어문화학회 부회장, 한국도교문화학회 부회장, 한국한문학회 연구이사 등을 역임하거나 맡고 있다.

Photo

유성호

교수

국어국문학과

■ 자기소개
유성호 교수는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을 졸업하여, 동대학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근대문학을 전공하였고,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서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를 거쳐 지금은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 학력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 경력
서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 연구관심분야
한국 근대문학

■ 주요논문 
김현승 시의 분석적 연구 등.

■ 주요저서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 상징의 숲을 가로질러, 침묵의 파문, 현대시교육론 등.

■ 수상경력
김달진문학상, 유심작품상, 편운문학상 등.

■ 학회활동
한국근대문학회, 한국시학회, 민족문학사학회, 한국언어문화학회

Photo

조성문

교수

국어국문학과

■ 자기소개 
조성문 교수는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에 재직 중이다.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국어학으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국어 자음의 음운 현상에 대한 원리와 제약&, &재미있는 성문국어&, &기능과 화행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 활동& 등이 있으며, 국내 주요 학술지에 국어음운론 관련 논문 50여 편을 발표한 바 있다.

한국음성과학회에서 우수발표논문상을 수상했으며, 한국언어학회, 대한언어학회, 한국현대언어학회, 한국언어문화학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한민족문화학회, 한국음성학회 등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한국음운론학회 총무이사, 한국사회언어학회 섭외이사, 한국어학회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학력
1991,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1996, 한양대학교, 국어음운론 석사
2000, 한양대학교, 국어음운론 박사

■ 경력
2000-2003,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
2003-2007,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2007-현재,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2008-현재,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연구관심분야
한국어 음운론, 한국어 음성학, 최적성이론, 한국어교육

주요논문
“최적성이론에 의한 모음조화의 변화 분석”, 음성․음운․형태론연구, 7(1), 2001.
“산포이론에 의한 국어 모음체계의 변이 고찰”, 언어학, 13(4), 2005.
“정지용 시의 음운론적 특성 분석”, 동북아문화연구, 22, 2010.

주요저서
&국어 자음의 음운현상에 대한 원리와 제약&, 2000.
&재미있는 성문국어&, 2006.
&기능과 화행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 활동&, 2009.

수상경력 
한국음성과학회, 우수발표논문상, 2003

학회활동
한국음운론학회: 총무이사, 2008-2010
한국사회언어학회: 섭외이사, 2009-2011
한국어학회: 편집위원, 2009-2011

기타
서울특별시 공무원시험 출제위원, 2001-2009.
행정안전부 PSAT 출제위원, 2002-2003
국회 공무원시험 출제위원, 2005-2009 

 
Photo

신중진

교수

국어국문학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전공주임

• 최종학위 취득현황
- 학위 : 박사
- 수여대학 : 서울대학교
- 전공분야 : 문법론, 어휘론, 국어사

• 저역서
- 개화기국어의 명사 어휘 연구
- 이중모음(공저)
- 각필구결의 해독과 번역3,4(공역)
- 새한불사전(공편)

• 논문
- ‘두드러기’의 형태사와 그 방언형 연구
- 한국 근대 초기의 ‘洋'관련 서구문명 어휘에 대하여
- 통시사전 기술 방향 연구
- 접두사와 관형사를 구별하기 위한 기술
- 말음첨기의 생성과 발달
- 율사본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의 국어학적 고찰 외 다수

Photo

■ 소개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2003),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현대소설 전공으로 석사(2008) 및 박사학위(2013)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대우교수(2013-16),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조교수 및 부교수(2016-2025)로 근무하였다. 2025년부터 한양대학교에서 한국근현대소설과 디지털 인문학을 담당하고 있다. 경성의 도시공간과 문화, 모더니즘 문학, 디지털 문학지도 구축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 학력
2013,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2008,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2003,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경력
2025-현재, 한양대학교 부교수
2016-2025,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조교수 및 부교수
2013-2016,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우교수
2012~2015, 홍익대학교 기초교육대학 시간강사
2009~2012, 한림대학교 기초교육대학 시간강사
 
연구관심분야
한국근현대소설, 도시공간과 문화, 모더니즘 문학, 디지털 인문학
 
주요 저술
『식민지 교양소설 제국-식민지의 불균등 발전과 성장하지 않는 청춘』(서강대학교출판부, 2023)
『경성 모더니즘: 식민지 도시 경성과 박태원 문학』(일조각, 2020)
『쉽게 읽는 서울사: 일제강점기편』(공저, 서울역사편찬원, 2020)
『근대문화유산과 서울 사람들』(공저, 서울역사편찬원, 2017)『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 일본』(공저, 소명출판, 2017)
 
주요 논문
&이중언어 문학장과 혼종적 에크리튀르&, 사이間SAI, 2024
&사상 통제의 매커니즘과 전향작가의 망탈리테&, 우리말글, 2023
&수량적 문체론과 기법의 문학사&, 한국근대문학연구, 2023
&제국 아카데미와 식민지 지식인의 초상&, 동악어문학, 2023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형성과 서양 고전음악의 의미&, 한국문학논총, 2022
&‘멀리서 읽기’를 통한 한국 근대소설의 지도 그리기&, 돈암어문학, 2022
&재조선 일본인 작가와 한국 작가의 경성의 ‘남촌’ 재현에 관한 비교문학적 연구&, 비교문학, 2022
&기술 총화의 ‘비행기’ 시대와 제국-식민지의 낙차&, 어문연구, 2022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 연작과 비총체화된 총체성&, 한국현대문학연구, 2022
&파시즘에 드리운 모더니즘적 상상력&, 상허학보, 2022
&한국 근대 미인의 형성과 화문(畵文)의 모더니즘&, 구보학보, 2021
&재조선 일본인 문학의 ‘경성’ 재현 양상과 심상지리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 2021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동경(東京)의 공간적 특성과 재현 양상 연구(2)&, 구보학보, 2019
&한국 모더니즘 문학과 채만식 소설&, 어문연구, 2019
&식민지 도시 경성과 김유정의 언어감각&, 인문과학연구, 2018
&일본인 작가가 재현한 식민지 조선의 감옥&, 서강인문논총, 2018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세계문학적 의의&, 구보학보, 2018
&이야기는 어떻게 인간을 사로잡는가&, 한국예술연구, 2017
&『천변풍경』의 세 개의 판본과 박태원의 창작과정에 대한 고찰&, 구보학보, 2017
&불균등 발전과 반(反)성장 소설&, 우리말글, 2017
&이광수의 지리적 상상력과 세계인식&, 현대소설연구, 2017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동경(東京)의 공간적 특성과 재현 양상 연구&, 우리어문연구, 2017
&징후로서의 전향과 형식의 이데올로기&, 어문연구, 2016
&일제말 박태원의 시대인식과 악순환의 서사&, 구보학보, 2016
&은폐된 제휴관계와 식민지 지식인의 원죄의식&, 현대소설연구, 2016
&제국의 외부에서 사유하기&, 현대문학의 연구, 2016
&대경성의 공간재편과 박태원의 미완의 기획&,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식민지 교양소설과 이태준의 공간지향&, 상허학보, 2015
&피난민 산책자와 1970년대 서울&, 시학과언어학, 2015
&제국-식민지의 역학과 박태원의 ‘동경(東京)텍스트’&, 서강인문논총, 2014
&물화된 전쟁과 제국의 시선&, 현대소설연구, 2014
&천변의 대안적 공동체와 순환적 인물체계&, 어문연구, 2014
&고현학과 산책자&, 구보학보, 2013
&식민도시 경성과 트로이의 목마&, 구보학보, 2012
&식민지적 어둠의 심연&, 한국근대문학연구, 2010
&구성적 부재와 공간의 정치학&, 어문연구, 2010
&경성 모더니즘과 공간적 역사&, 구보학보, 2009
&경성 모더니즘과 역사적 알레고리&, 현대소설연구, 2008
 
주요 사업
&경성 디지털 문학지도 구축과 공간의 문학사 연구&(한국연구재단, 2023-2026)
&경성 모더니즘의 형성과 전개: 대경성과 혼종적 에크리튀르&(한국학중앙연구원, 2021-2023)
&한국 근대소설 속 일본어 발화의 서사적 기능과 혼종적 에크리튀르 연구&(한국연구재단, 2020-2023)
&한국 근대 ‘미인’의 형성-신문연재소설 속 미인의 재현양상과 삽화 비교 연구&(아모레퍼시픽재단, 2019-2020)
&재조선 일본인 작가와 한국 작가의 경성 텍스트에 관한 비교문학적 연구&(한국연구재단, 2018-2020)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동경(東京)의 공간적 특성과 재현 양상 연구&(한국연구재단, 2016-2018)
&이태준 장편소설의 공간지평과 근대의식 연구&(2014-2015)

Photo

서경석

명예교수

국어국문학과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인 서경석 교수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근대문학사 연구’, ‘한국 근대 리얼리즘문학사 연구’ 등이 있으며 국내학술지에 70여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한국문학 편집위원, 대산문화 편집위원 등을 지냈으며 한국문학연구학회, 우리말글학회에서 연구이사, 편집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학력
1983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사
1987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1992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 경력
1992년 -2001년 대구대학교 교수
2001년 9월- 현재 한양대학교 교수

연구관심분야
한국근현대비평 및 한국근현대 소설, 한일 근대문학 비교 연구 

주요논문
한설야 문학의 유교적 배경 연구, 우리말글, 2006.4
만주국 기행문학 연구, 어문학, 2004.12
카프에 대한 카프주변부의 비판과 그 가능성, 어문론총, 2004.12 

주요저서
동화의 씨앗(공저), 역락, 2005
한국문학 100년(공저), 현암사, 2001
한국근대리얼리즘문학사, 태학사, 1998

수상경력 
1988년 한국문학 비평부문, 신인상

학회활동
우리말글학회 편집이사
한국문학연구회 연구이사
한국언어문화학회 회원 

Photo

이도흠

명예교수

국어국문학과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이도흠 교수는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도흠 교수는 이론가이자 고전시가 연구자다. 이론가로서는 한국의 고유 철학인 화쟁철학을 바탕으로 맑시즘과 형식주의를 종합하여 텍스트의 내적 구조를 분석하면서도 이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수용하며 해석하는 화쟁기호학이라는 이론을 만들었다. 이 이론으로 향가, 고려속요, 시조 등 한국 전통 시가를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하이쿠와 같은 외국문학, 대중문화도 분석하였다.
상대방의 눈동자에 맺힌 내 모습을 눈부처(Buddha in other’s pupil)라 한다. 그는 원효의 화쟁철학과 맑시즘, 들뢰즈(Deleuze)와 레비나스(Levinas)를 종합하여 타자 속의 나, 내 속의 타자가 서로 소통하여 하나가 되는 타자성(alterity)의 상생(mutual liviving)을 추구하면서도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주체가 되는 눈부처-주체성의 철학을 펼치며, 약자의 편에서 이의 실천운동도 행하고 있다. 2020년에 고전문학회 50주년을 맞아 고전시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선정되어 고전시가 연구 100여 년을 회고/평가하는 좌담회에 참석하였고, 세계적 석학을 양성하는 사업인 ‘한국연구재단 우수학자’에 선정되었다.

■ 학력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학사, 석사, 박사

■ 경력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 상임의장, 지식순환협동조합(지순협) 대안대학 이사장, 정의평화불교연대 상임대표,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소장

■ 연구관심분야
고전시가, 문학과 예술이론, 불교철학, 미학, 대중문화와 한류문화

■ 주요저서
<화쟁기호학-이론과 실제>, <신라인의 마음으로 삼국유사를 읽는다>, <인류의 위기에 대한 원효와 마르크스의 대화>, <4차 산업혁명과 대안의 사회1/2>, <신화/탈신화와 우리>, <한류와 한사상>(공저)

■ 수상경력
삼성전자/<중앙일보> 주최 <21세기 중앙 논문상> 최우수상, <교수신문> 주최 ‘교수학술에세이’ 최우수상, 원효학술상, 유심학술상 수상

■ 학회활동
현재 한국시가학회 회장, 한국기호학회 회장, 한국언어문화학회 회장 역임

Photo

권경아

강사

국어국문학과

A paragraph is a self-contained unit of a discourse in writing dealing with a particular point or idea. Paragraphs are usually an expected part of formal writing, used to organize longer prose.

교육과정

학부

대학원

     
교육과정
학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이수구분 이수단위 학점-강의-실습
교육과정
Year Term No Title Type Units Credits-Lecture-Experiential Learning
교육과정
학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점-강의-실습
교육과정
Year Term No Title Type Credits-Lecture-Experiential Learning

교과목

학부

대학원

     
교과목
학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이수구분 이수단위 학점-강의-실습
교과목
Year Term No Title Type Units Credits-Lecture-Experiential Learning
교과목
학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점-강의-실습
교과목
Year Term No Title Type Credits-Lecture-Experiential Learning